콘텐츠목차

『기장현 향토 문화 연구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287
한자 機張縣鄕土文化硏究誌
영어의미역 A Study Rural Area Culture of in Gijang-h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표용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토지
편자 공태도
간행자 기장현 향토문화연구소
표제 기장현 향토 문화 연구지
간행 시기/일시 1998년 5월 1일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기장문화원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로 74번길 35-6지도보기
간행처 기장현 향토문화연구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역사와 문화를 정리하여 1998년 발행한 향토지.

[편찬/간행 경위]

부산광역시 기장군은 1914년 동래군에 편입되었다가 이후 양산군에 소속되었고, 1995년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80여 년 만에 기장군으로 복군되었다. 기장군 복군을 계기로 각계에서 기장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체계적 정리가 요청되어 1998년 5월 1일 『기장현 향토 문화 연구지(機張縣鄕土文化硏究誌)』를 간행하였다. 편자는 공태도이며, 기장현 향토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부산광역시 기장군청 자료실, 부산광역시청 시정 정보 자료실 등 부산 지역 공공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가로 20㎝, 세로 26㎝ 크기로, 총 504쪽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내용]

기장군의 역사와 문화 현황이 각 분야별로 다양하게 정리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장군 약사(略史)’ 편에서는 신라 시대부터 1995년 부산광역시 편입까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차성가(車城歌)」 편은 기장 지역의 대표적 문학 작품인 「차성가」의 원문과 주해와 번역문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어서 지명 유래, 항일 운동,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와 유배 문학, 전래 민요와 전설 등도 수록하였다. 또 기장 지역의 교육 변천사와 대표적인 유적지와 명소를 소개하였으며, 부록으로 역대 기장 현감과 군수 명단을 비롯한 기장 지역 각 단체의 임원 명단을 수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민간 향토사 연구 단체인 기장현 향토문화연구소가 기장의 역사와 문화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특히 지명 유래를 밝히면서 5개 읍·면별 연혁과 함께 각 자연 마을의 유래를 세밀하게 정리하여 자연 마을의 변화 실상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