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호남 연해 형편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459
한자 嶺湖南沿海形便圖
영어의미역 Map of Coastal Waters in the Yeongnam and Honam Reg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국립중앙도서관
현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정의]

조선 후기 부산을 포함한 남해안의 해안 및 도서의 요충지를 그린 관방 지도.

[개설]

「영호남 연해 형편도(嶺湖南沿海形便圖)」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관방도 중의 하나로, 남해안의 해상 방어를 위해 해로와 육로 및 관방을 상세하게 그린 지도이다. 「영호남 연해 형편도」는 「영남 연해 형편도(嶺南沿海形便圖)」와 「호남 연해 형편도(湖南沿海形便圖)」를 합친 수로도로서, 영남은 경상북도 영해(寧海)에서 하동(河東)까지, 호남은 광양(光陽)에서 전라북도 용안(龍安)의 용두포까지 방향에 관계없이 직선상으로 그리고 있다. 40면으로 된 「영호남 연해 형편도」의 첫 면과 마지막 면은 산수화로 장식되어 있으며, 영남과 호남 부분은 분리되어 있다. 이 지도는 「고려 중요처도(高麗重要處圖)」[개인 소장]와 같은 시기인 조선 후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형태 및 구성]

「영호남 연해 형편도」는 채색 필사로 크기는 59.0×800.0㎝이며 병풍 형태로 되어 있다. 적당한 채색을 사용하여 산천, 도서, 봉화대, 수로, 선소 등을 표시하였으며, 연안 각 군·읍 등의 위치, 도서의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동래부 연안의 수로는 울주 서생에서 시작하여 기장을 거쳐 경상 좌수영 앞을 지나 절영도 안쪽으로 이어져 웅천 및 통영으로 연결된다. 수로의 요충지에 대한 기록이 기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저 형편의 험악하고 순편한 정도, 폭풍을 만났을 때 대피할 만한 유박지(留泊地), 선박의 대소에 따라 수용할 수 있는 포구의 한도, 연안 각 고을간의 이정(里程) 및 연안 각지로부터 내륙의 중요한 군읍 간의 거리 등이 기록되어 있다.

[특징]

「영호남 연해 형편도」는 수로도이면서 군사 목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방을 대상으로 그린 지도 중 해안선 묘사가 가장 정확하다. 각 행정 중심지의 읍치는 사각형으로 묘사되며, 영(營)·진(鎭)은 원으로 표현하였다. 동래읍성을 중심으로 각 읍치와 진보로 이어지는 도로가 그려져 있다. 산맥의 표현은 줄기로 표현하고자 하였으나 일관되게 묘사되고 있지는 않다.

동래에서 북으로 소산[지금의 기찰]을 거쳐 양산과 울산으로, 남으로 수영과 기장으로 이어지는 육로가 그려져 있다. 서로는 부산~개운포~두모포 초량~왜관~서평~다대를 잇는 육로가 묘사되어 있다. 해안의 봉수로는 황령산 봉수, 구봉 봉수, 응봉 봉수, 계명봉 봉수, 간비오산 봉수가 표현되어 있다. 금정산성이 그려져 있으나 지금은 폐하였다는 주기가 있다.

섬 지명으로 남해에 분도, 삼지도, 목도가 그려져 있으며 몰운대(沒雲臺) 해안에는 매우 험난한 곳이라는 주기가 있다. 낙동강 하구에는 지금의 대저도에 ‘대도(大島)’로 지명을 기재하였으며, 양산에 속하고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외의 섬 지명으로 대산도, 덕도, 유도, 수봉도, 명지도 등이 기재되어 있다. 초량 왜관에는 동왜관(東倭館)과 서관(西館)이 그려져 있다. 절영도에는 부두를 묘사하고 왜선소(倭船所)라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영호남 연해 형편도」는 조선 후기 대일(對日) 방어의 요충지인 동래부 일대를 비롯하여 영남·호남 해안 일대의 해방의 요충지와 관방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