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4437 |
---|---|
한자 | 大東輿地圖機張縣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Gijang-hyeon in Daedong Yeojido[Detailed Map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조선 후기 제작된 『대동여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기장현 지도.
[개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는 흑백본 『대동여지도』 중 기장, 양산, 울산부 일대 지도이다. 현재 남아 있는 『대동여지도』 목판에 이 일대의 목판이 남아 있으며, 채색되기 이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외에 국립중앙박물관에도 소장되어 있다.
[형태 및 구성]
『대동여지도』 「기장현 지도」의 기장 일대의 묘사 내용을 보면 인근 군현과의 경계는 점선으로 표현하였으며, 인근 읍치와의 경로는 약 4㎞[10리] 간격으로 표시가 되어 있다. 불광산, 백운산, 삼각산, 철마산, 거문산, 탄산(炭山), 운봉산, 앵림산 등의 지명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 중 탄산은 기장현의 진산(鎭山)을 말한다. 산줄기 사이로 하천이 그려져 있으며, 해안에 봉수들이 묘사되어 있다. 북쪽으로부터 아이 봉수, 남산 봉수가 그려져 있다. 아이 봉수의 정확한 위치는 이전의 지도와 약간 다르다. 임랑포와 두모포가 기재되어 있으며 그 서쪽에 고읍이 그려져 있다. 바다에는 죽도와 동백도가 묘사되어 있다.
[특징]
『대동여지도』 「기장현 지도」는 이전의 기장현 지도와 지리 정보에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청구도와 비교해 볼 때 임랑포와 거문산이 새로 기재되었으며, 쌍교가 삭제되었다. 하천의 좌안에 표현되던 기포는 우안에 묘사되어 있으며, 기장을 감싸는 새로운 하천이 보인다. 하서면·상서면 등의 지명이 삭제된 대신에 송정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목판으로 제작되면서 지리 정보가 적지 않게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흑백본으로 표현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지도에서 붉은색 혹은 청색으로 표현된 봉수 혹은 바다가 채색되어 있지 않다.
[의의와 평가]
『대동여지도』 「기장현 지도」는 『대동여지도』의 제작 과정을 볼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