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려 중요처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430
한자 高麗重要處圖
영어의미역 Map of the Coastal Areas in the Yeongnam Region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변광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정의]

조선 후기 경상 좌도·경상 우도의 포구와 자연환경, 군사 정보 등을 기록한 고지도.

[개설]

봉수(烽燧)는 해안·변방의 위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한 긴급 수단이다. 봉수대는 전망이 좋은 산에 수십 리 간격으로 설치하여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위급 사항을 연락하였다. 포구는 선박이 정박하는 곳으로, 선박에 결함이 있을 경우에는 수리하는 선창의 기능을 한다. 그러한 선창의 수심이 얕아지면 정박과 항해 일수에 제한을 받는다. 또 선박이 항해할 때 피해야 할 바람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고려 중요처도(高麗重要處圖)」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주기 위하여 제작한 지도이다. 한양에까지 연결되는 직봉(直烽) 봉수의 동남 기점인 동래를 중심으로 좌우 20개 군현을 대상으로 봉수 제도의 입지가 되는 여러 조건을 기록하였다. 아울러 동래나 웅천 등 좌우 경상도 주요 포구와 연안의 자연환경과 수심의 변화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형태 및 구성]

「고려 중요처도」의 크기는 가로 342㎝, 세로 67㎝로, 비단에 채색으로 그린 고지도이다. 경상 좌도와 우도로 나누어 해안 포구를 낀 주요 지역의 형세를 그렸다. 좌도에는 영해·영덕·청하·흥해·연일·장기·경주·울산·기장·동래 지역 정보를, 우도에는 김해·웅천·창원·칠원·진해·고성·진주·사천·곤양·하동 지역 정보를 수록하였다. 선박의 정박 가능 여부와 해당 고을 내 포구에서 정박 가능한 선박 수 및 선창을 명시하였다. 또 동풍·서풍 등 어느 바람이 봉수에 불리한지를 기록하고 거리 수 및 수심 등을 상세히 표시하였다.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는 연락 수단인 봉수를 붉은색의 점으로 표시하면서 거리까지 상세하게 표시해 놓았다.

[특징]

「고려 중요처도」는 한 면이 342㎝에 이르는 방대한 지도이다. 하나의 지도에 좌우 경상도의 20개 주요 해안 포구의 선박과 봉수 등 관방[군사]에 관한 정보가 폭넓게 담겨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