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석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394
한자 李錫雨
영어음역 Yi Seoku
이칭/별칭 청초(靑草)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141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선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국화가
성별
본관 전주
대표경력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산지회장
출생 시기/일시 1928년 5월 28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6년 - 청주상업고등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51년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3년 수료
활동 시기/일시 1953년 - 부산에서 첫 개인전 개최
활동 시기/일시 1957년 - 제3회 청백 미전에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58년 - 뉴욕 월드 갤러리 국제전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59년 - 한일 친선 국제전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현대 작가 초대전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67년~1987년 - 동아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로 재직
활동 시기/일시 1968년 - 제1회 동아 국제전 운영위원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눌원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69년 - 부산시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2년 - 전국 대학 예술 제전 제3회 미술전 동양화부 심사위원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4년 -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추천 작가로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75년 - 전국 대학 예술 대전 제6회 미술전 동양화부 심사위원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6년 - 국립현대미술관 주관 현대 동양화 대전 초대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초대 작가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82년~1984년 -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심사위원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4년~1985년 - 국립현대미술관 현대 미술 초대전 출품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일본 동남아 현대 미술 대전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프랑스 르쌀롱전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산지회장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987년 10월 24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충청북도 청원군 강서면 문암리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서구 암남동 397
학교|수학지 서울대학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활동지 동아대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지도보기
묘소 석계 공원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외석리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한국화가.

[활동 사항]

이석우(李錫雨)[1928~1987]는 1928년 5월 28일 충청북도 청원군 강서면 문암리에서 태어났다. 1946년 청주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51년에 6·25 전쟁으로 군대에 입대하였다가 통영으로 후송되어 제대하였다. 1950년대 초 통영중학교에서 미술 교사로 재직하면서 부산 미국공보원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주위의 주선으로 1956년 3월부터 부산의 대신중학교에 미술 교사로 부임하여 1962년 2월까지 재직하였다. 1950년대 말부터 부산대학교·부산여자대학[현 신라대학교부산교육대학교 등에 출강하기 시작하여 1967년부터 동아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53년과 1955년 부산 미국공보원에서 두 차례 개인전을 가진 이래 1969년 12월, 1971년 8월, 1974년, 1976년, 1977년 1월과 4월, 1981년 11월에 부산의 한광미술관, 서울 조선호텔 화랑, 서울 미술회관 등에서 십 수 차례 개인전을 가지며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1957년 제3회 청맥 미전을 시작으로, 1958년 뉴욕 월드 갤러리 국제전, 1959년 한일 친선 국제전, 1961년 현대 작가 초대전, 1976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현대 동양화 대전, 1984년~1985년 국립현대미술관 현대 미술 초대전, 1985년 일본에서 열린 동남아 현대 미술 대전, 프랑스에서 개최된 르쌀롱전에 참여하는 등 수많은 전시에 출품하였다.

한편으로 1968년 제1회 동아 국제전 운영 위원, 1972년과 1975년에 전국 대학 예술 제전 제3회와 제6회 미술전 동양화부 심사위원장, 1982년~1984년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의 심사 위원, 1987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산지회장을 지냈다. 이런 공적으로 이석우는 1969년 눌원 문화상과 부산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이석우의 화풍은 해학적인 인물화로 당대 현실의 면면을 보여 주었다. 동아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1987년 10월 24일 세상을 떠났다. 부산대학교 예술대학의 이민한 교수가 아들이다.

[저술 및 작품]

대표 작품으로 「재건의 육체」[1961, 국전 입선작]·「총화」[1981]·「고진해로」[1983]·「적(寂)」[1978]·「차거운 태양」[1965]·「不換三公(불환삼공)」[1981]·「을숙도」[1980] 등이 있다.

[묘소]

묘소는 경상남도 양산시 석계 공원에 마련되었다.

[상훈과 추모]

1969년에 눌원 문화상과 부산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옥** 이석우가 부산미술계와 인연을 가지게 된 것은 통영중학교에 재직할 때 부산미국공보원에서 가진 2차례의 개인전(1953년,1955년)이며, 당시 주위의 주선으로 부산대신중학교 미술교사(1956년 3월- 1962년 2월)로 부임하면서 부터다. 참고자료로 <이석우의 생애와 작품세계/부산미술의 면모/옥영식미술평문집p84-93,2011>을 들 수 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적하신 내용은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5.07.0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