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336
한자 金義煥
영어음역 Gim Euihwan
분야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동 472-19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양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자
성별
대표관직|경력 부산여자대학 교수
출생 시기/일시 1925년 1월 24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2년 - 신경 영락국민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45년 - 공주영농업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60년 - 부산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수료
활동 시기/일시 1948년 - 금성중학교 교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4년 - 평화고등학교 교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부산공업고등학교 교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0년 - 한국일본문제연구소 부회장이 됨, 영남대학교 한일관계연구소 특별 연구원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4년 - 부산여자대학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제총산단기대학 강사가 됨
활동 시기/일시 1980년 - 부산산업대학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규슈대학에서 문학 박사 학위 취득
몰년 시기/일시 1992년 6월 26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3년 - 『문학 박사 김의환 교수 추모록』 발간
출생지 문경 - 경상북도 문경군 마성면 아내리 666
거주|이주지 부산 -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동 472-19지도보기
거주|이주지 나라 - 일본 나라 현 나라 시 중정
수학|강학지 영락국민학교 - 중국 신경
수학|강학지 공주영농업학교 - 충청북도 공주시
수학|강학지 동국대학교 -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3가 26
수학|강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지도보기
수학|강학지 규슈대학 - 일본 후쿠오카 현 후쿠오카 시
활동지 금성중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1동 780지도보기
활동지 평화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3동 445지도보기
활동지 부산공업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918-2지도보기
활동지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 - 부산광역시
활동지 부산여자대학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 산 1-1지도보기
활동지 제총산단기대학 - 일본 나라 현 나라 시
활동지 부산산업대학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동 314-79지도보기
활동지 규슈대학 - 일본 후쿠오카 현 후쿠오카 시

[정의]

부산과 일본에서 활동한 역사학자이자 교육자.

[가계]

부인은 박의순(朴義順)이고, 아들은 김정표(金政彪)와 김기우(金基宇)이다. 딸은 김남선(金南仙), 김남동(金南童), 김기홍(金基弘)이다.

[활동 사항]

김의환(金義煥)[1925~1992]은 1925년 1월 24일 경상북도 문경군 마성면 아내리 666번지에서 태어났다. 1940년 만주 신경[현 장춘]의 영락국민학교 고등과에 진학하여 1942년 졸업하였다. 1945년 공주영농업학교 제2본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문리과 대학 사학과에 진학, 1954년 졸업하였다. 이후 중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 진학하여 1960년 수료하였다. 1948~1950년 부산 금성중학교, 1954~1956년 부산 평화고등학교[현 부산동고등학교], 1956~1963년 부산공업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1963~1974년 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부경대학교에 통합] 교수, 1974~1978년 부산여자대학[현 신라대학교] 교수, 1980~1982년 부산산업대학[현 경성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다.

역사 관련 학술 활동도 열심히 하여 1961~1977년 한국사상연구회 편집 위원, 1963~1978년 부산시사 편찬 위원, 1968~1978년 한국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조사 집필 위원, 1970~1977년 한국일본문제연구소 부회장 및 영남대학교 한일관계연구소 특별 연구원, 1974~1977년 부산시 문화재전문위원을 지냈다. 1968년 이후 한국사연구회, 1970년 이후 한국경제사학회 및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일본에서도 강의를 하였다. 1977년부터 10년 동안 나라 시[奈良市] 제총산단기대학에서 강의를 하였다. 그 사이[1984년] 규슈대학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0~1982년 규슈대학 문학부 조선사학과에서 강의를 하였다. 이 시기에 김의환은 한국 근현대 민족 운동사, 한일 관계사, 부산 지역사 연구에 매진하여 큰 업적을 남겼다. 1992년 6월 26일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주요 저서로는 『동학 성립의 연구』[문종사, 1959], 『우리나라 근대화사 논고』[삼협출판사, 1964], 『안용복 장군 약전』[안용복장군기념사업회, 1966], 『조선 대일 교섭사 연구』[통문사, 1966], 『부산 근대 교육사』[태화출판사, 1967], 『부산 근대 공업 발달사 연구』[부산공업고등전문학교, 1969], 『부산의 고적과 유물』[아성출판사, 1969], 『부산 지방의 지명의 유래』[태화출판사, 1970], 『도서 해제』 부산시립도서관 귀중본 1~4, [부산시립도서관, 1969~1971, 1974), 『우리나라 근대 기술 교육사 연구』[박영사, 1971], 『조선을 둘러싼 근대 러일 관계의 연구』[한국국회도서관, 1972], 『한국 근대사 연구 논집』[성진문화사, 1972], 『인간 이순신전』[연문출판사, 1972], 『부산 근대 도시 형성사 연구』[연문출판사, 1973], 『조선 근대 대일 관계사 연구』[경인출판사, 1973], 『국사 개설』[박영사, 1971~1976], 『전봉준 전기』[정음사, 1974], 『의병 운동사』[박영사, 1974], 『항일 의병장 별전』[정음사, 1975], 『국사 통론』[형설출판사, 1976], 『고대 조선 문화사』[동아시아문화연구회, 1982], 『조선 문화사 신강』[동양서원, 1985]이 있고, 『부산 약사』[부산시사편찬위원회, 1965] 외 18권의 공저가 있다. 논문으로는 「서세 동점」[『신인간』21, 1961] 외 66편이 있다. 그 밖에 「대마도 엄원(嚴原) 답사기」, 「동경의 일본 민예관을 보고」, 「일본 근대 문학관을 보고」, 「이조의 도공 팔산(八山)의 후예를 찾아」, 「대마도에 파묻힌 우리나라 문화재」 등 미발표 유고 5편이 전한다. 연구 발표는 「동학의 성립에 대하여」[부산대학교 사학회총회, 1959]를 포함하여 7회에 달한다. 문화교육부에서 연구비를 받아 진행한 ‘부산 근대 공업 발단 연구’를 비롯하여 5차례 공공기관 의뢰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3년 김의환의 1주기를 맞아 그를 존경했던 지인들이 부인 박의순의 동의를 얻어 『문학 박사 김의환 교수 추모록』을 발간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