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좌수영 지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120
한자 慶尙左水營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Gyeongsangjwasuyeong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조선 후기 부산의 경상좌수영 관할 지역을 그린 관방 지도.

[형태 및 구성]

「경상좌수영 지도(慶尙左水營地圖)」는 총 1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종이를 연결하여 두루마리 족자식으로 만들었다. 전체 크기는 48.4×339.8㎝이다. 범위는 좌수영을 기점으로 하여 동쪽으로 기장, 서생포, 울산의 병영까지, 서로는 부산, 개운, 두모포, 왜관, 다대, 서평포, 가덕도까지이다. 바다는 파도가 묘사되어 있으며, 좌수영의 선창에는 선박 여러 척과 함께 방파제 구실을 하는 석축이 그려져 있다. 주로 해안에 분포하는 요새처와 왜성, 봉수대가 성곽과 함께 그려져 있다.

1면 상단에는 주기(注記)가, 하단에는 비변사인(備邊司印)이 찍혀 있다. 주기에는 동쪽으로 본영~기장 선창, 기장 선창~서생포, 서생포~울산 선창, 남으로는 본영~부산 개운포·두모포, 부산~왜관 선창, 부산~다대 서평포, 다대포~가덕도, 가덕도~통영, 본영~동래부까지의 수로와 육로의 거리가 수록되어 있다. 1~5면에는 울산부 해안이 그려져 있다. 울산부와 경상 좌병영이 태화강 좌안에 묘사되어 있다. 구 수영성에 개운포라고도 부른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서생 왜성이 실제 모습과 유사하며 왜인이 쌓은 성이라고 적혀 있다. 4면에 이길봉이 묘사되어 있으며 동쪽의 하산봉과 약 4㎞[10리]가 된다는 기록이 있다.

6~9면은 기장 해안을 묘사하고 있다. 아이봉과 증성, 임랑포, 구봉대(旧烽臺), 동백포, 기포(碁浦), 구두모포(旧豆毛浦), 황운대, 죽도 등의 지명이 기술되어 있으며, 내륙으로 기장현에 이르는 도로가 그려져 있다. 10~19면은 부산 일대의 해안 지역을 묘사하고 있다. 좌수영 일대를 매우 상세하게 그렸는데, 좌수영의 좌측에 감포, 축산포, 칠포, 포이포가, 우측에 간비오산 봉수, 해운대가 그려져 있다. 감만포 앞바다에 오륙도가 촛대 모양의 5개 섬으로 그려져 있으나 지명은 오리도(五里島)로 기재되어 있다.

부산포에는 부산진성이 실경으로 상세히 그려져 있고, 영가대가 묘사되어 있다. 부산진성 안에는 승첩비가 그려져 있으며 왜인이 축성했다는 내용이 부기되어 있다. 초량 왜관 일대에는 동왜관과 서왜관의 지명이 표기되어 있으며, 금표(禁標) 비석이 있다. 이는 왜관에 조선인 출입을 금한다는 내용인 것으로 보인다. 객사는 금표의 동쪽에 있다. 17면의 다대진 앞바다에 선박이 묘사되어 있으며 몰운대와 연육(連陸)되는 곳에 조항(鳥項) 지명이 기재되어 있다. 제19면에는 가덕도가 청색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인근의 수로가 험하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특징]

「경상좌수영 지도」는 현재 규장각 한국학연구원[규 12161]에 소장되어 있다. 해로는 그려져 있지 않으나 해안에서 각 요충지를 연결하는 도로가 황색으로 그려져 있으며, 영도의 묘사 내용은 일부 군현 지도에서 나타나는 모습과 유사하다. 작자와 작성 연대는 미상인데, 지도에 나타난 지명을 통해 제작 연도를 짐작할 수 있다. 9면에 그려진 구두모포는 지금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해당된다. 대변리 동쪽 바닷가에 전선창 터라는 지명이 남아 있는데, 주사창(舟師廠)이라고도 한다.

대변리 인근의 죽성리(竹城里)두모포 만호영(豆毛浦萬戶營)이 있었는데, 만호영은 1629년(인조 7)에 부산의 동구부산포로 옮겼다가 1680년에는 현재의 동구 수정동으로 옮겨졌다. 지도에서 두모포가 지금의 수정동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경상좌수영 지도」는 이 이후에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12면에 나타난 포이포 등은 임진왜란 이후 해상 방어를 위해 옮긴 것이며, 1751년(영조 27)에 감포·축산포·칠포가 혁파되었는데, 「경상좌수영 지도」에는 이들 지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상의 사실을 바탕으로 하면 제작 연도를 1680~1751년 사이로 추정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경상좌수영 지도」는 17세기를 전후하여 해상 방어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제작된 지도로서 당시의 높아진 영토 인식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당시 부산 일대의 변화 내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