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063
한자 朴致道
영어음역 Bak Chido
이칭/별칭 학계(學季),검암(黔巖)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수안동 421-5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순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순천
대표관직 동래 부사
출생 시기/일시 1642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68년 - 별시 문과 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80년 - 지평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82년 - 북평사, 부수찬, 지평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83년 - 장령, 부교리, 헌납, 집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84년 8월연표보기 - 동래 부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85년 9월연표보기 - 동래 부사 파직
몰년 시기/일시 1697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광주 - 광주광역시
부임|활동지 동래부 동헌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지도보기

[정의]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학계(學季), 호는 검암(黔巖). 아버지는 진사 박충정(朴忠挺)이다.

[활동 사항]

박치도(朴致道)[1642~1697]는 1668년(현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1680년(숙종 6) 지평이 되었다.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에 있을 때 절도정배(絶島定配)[죄인을 외딴섬으로 귀양 보냄]와 추록훈(追錄勳)[공신 명단에 이름을 추가시킴]을 신중히 처리할 것을 상소하였다. 이듬해 도당록(都堂錄)[홍문관 벼슬 후보의 명단]에 오르고, 1682년(숙종 8) 북평사(北評事)·부수찬·지평, 1683년 장령·부교리·헌납·집의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1684년(숙종 10) 8월 동래 부사로 부임하였다. 동래 부사 재임 시 도주환도고지차왜(島主還島告知差倭), 등성통(藤成通), 봉진압물 1인, 반종 5명, 격왜 40명 등이 서계(書契)[일본과 조선이 주고받은 공식 외교 문서]를 지참하고 부산에 왔다. 이에 박치도는 “1682년(숙종 8) 통신사행 때 조선은 별차왜(別差倭)의 파견을 허락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혀, 문서로 기록하였다. 따라서 이번 보지차왜(報知差倭)는 규정에 없는 사절인 만큼 약조에 의거하여 접대를 허락하지 말아야 하고, 당연히 이들이 가져온 서계도 베껴서 보고해서는 안 될 것 같다.”는 내용의 장계를 올렸다. 1685년(숙종 11) 9월 파직되었고, 이후 오랫동안 승지를 지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박** 민족문화추진위원회는 민족문화추진회로 수정요망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요청 사항을 수렴하여 해당 명칭을 수정하였습니다.
2018.12.20
박** 참고문헌 중 민족문화추진위원회는 민족문화추진회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의견을 검토하여 해당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8.12.20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