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4054 |
---|---|
한자 | 姜大遂 |
영어음역 | Gang Daesu |
이칭/별칭 | 강대진(姜大進),면재(勉哉),학안(學顔),춘간(春磵),한사(寒沙),정와(靜窩)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112번길 61[수안동 421-5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구지현 |
[정의]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지낸 문신.
[가계]
본관은 진주(晉州). 초명은 강대진(姜大進), 자는 면재(勉哉)·학안(學顔), 호는 춘간(春磵)·한사(寒沙)·정와(靜窩) 등이다. 아버지는 사간원 사간 강익문(姜翼文)이고, 어머니는 합천 이씨(陜川李氏)이다.
[활동 사항]
강대수(姜大遂)[1591~1658]는 1610년(광해군 2)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청직(淸職)을 거쳤다. 1614년(광해군 6) 영창 대군(永昌大君)의 죽음을 간언한 정온(鄭蘊)을 구하려다 사직당하고 회양에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1623] 직후 풀려났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영남에 내려가서 의병을 모집하였으나 청과 화친이 이루어져 중앙으로 복귀하였다. 『동래부 읍지(東萊府邑誌)』[1740]에 따르면 강대수는 1639년(인조 17) 10월 동래 부사에 부임하였고, 이듬해 9월 재상(災傷)[자연재해로 인한 농작물 피해] 때문에 물러났으며, 선정비가 세워졌다고 한다.
여러 내직과 외직을 역임한 후 1652년(효종 3) 이후로는 임금이 불러도 조정에 나가지 않았다. 만년에는 고향 합천에서 후학을 가르치는 일에 힘썼다. 1645년(인조 23) 합천에 이연서원(伊淵書院)을 창건하여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을 배향하고, 1654년(효종 3) 의령에 덕곡서원(德谷書院)을 지어 이황(李滉)을 배향하였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는 7권 3책의 『한사집(寒沙集)』이 있다. 강대수에 관한 서적인 『한사 선생 연보(寒沙先生年譜)』[강병주(姜柄周) 편, 1899]가 있다.
[묘소]
강대수의 묘는 경상남도 의령군 낙서면 전화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728년(영조 4)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문림리의 도연서원(道淵書院)에 배향되었고,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금강 공원에 부사 강대수공 선정비(府使姜大遂公善政碑)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