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649 |
---|---|
한자 | 崔時柄 |
영어음역 | Choe Sibyeong |
이칭/별칭 | 모운(牟雲),일목(日木)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77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상기 |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예술인.
[활동 사항]
최시병(崔時柄)[1931~2000]은 1931년 8월 27일 일본 교토[京都]에서 태어났다. 호는 모운(牟雲)·일목(日木)이다. 1943년 오사카[大阪] 개천국민학교를 졸업하고 1948년 오사카 낭화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잠시 본적지인 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 사암 마을에서 살았다. 그 후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으로 나와 살면서 일본인을 상대로 관광 서비스 사업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사진 찍기를 시작하였다.
1979년 미국프로사진작가협회 정회원으로 입회하였고, 한국아동문화예술진흥협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80년 부산교육영화연구회 창립 발기 및 명예 회장을 역임하였다. 1981년 『부산 일보』 부일사진동우회 창립 및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1983년에는 도서출판 보리밭을 창립하였다. 1984년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고 1985년에는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졸업하여, 같은 해 부산경상전문대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1986년 홍콩촬영학회 사진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에는 시사문예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88년 예술공보사를 설립하여 계간 『예술 공보』 발행인 겸 편집인을 역임하였다. 1989년 동백수필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최시병은 천부적인 재능으로 사진·수필·동시·미술 등 종합 예술 활동을 하였고, 수많은 종합 예술 지도자 및 단체장, 각종 대회의 심사위원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1995년부터 부산강서문학회 초대 회장을 맡아 1996년까지 『강서 문학』 1호와 2호를 발간하고 나서 지병으로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투병 생활을 하다가 2000년 1월 세상을 떠났다.
[저술 및 작품]
저서로는 1983년에 동시집 『현이네 집』[보리밭], 1988년에 동시집 『아사달의 꽃』, 1988년에 동화·소설집 『꿈 속의 집』, 1990년에 동화·소설집 『관세음보살님의 피리』, 1995년에 동시집 『강마을 저녁 놀』, 모운 최시병 박사 화갑 기념문집 『노을 비낀 길목』, 수상집 『초가 한 채』, 동백 에세이 선집 『보리밭 둑의 환상』 등을 출간하였다. 사진집으로는 『(최시병 사진집) 한국의 원형』, 사진 연구서로는 『사진 예술』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79년에 사진작가로 등단하여, 문화공보부 공모전에서 문화공보부 장관상을 수상하였고, 이후 1996년 한국 잡지 언론상[문화공보부 장관], 동양 문학 신인상[시], 시와 시론 신인상[시], 시조와 비평 신인상, 문예한국 신인상, 한국 불교 아동 문학상, 동백 문화상, 국제 평화 예술상, 서울 예술 문화상, 일봉 문학상 등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