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의양 필 산수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482
한자 李義養筆山水圖
영어의미역 A Geographical Picture of Hills and Waters by Yi Uiyang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성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11년연표보기 - 이의양 필 산수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9월 7일연표보기 - 이의양 필 산수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의양 필 산수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성격 회화
작가 이의양
서체/기법 남종화풍
소유자 부산광역시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후기 이의양(李義養)의 산수도.

[개설]

이의양 필 산수도(李義養筆山水圖)이의양[1768~?]이 1811년 김이교(金履喬)[1764~1832]를 정사로 하는 통신 사행에 화원으로 참여해 당시 일본 남화(南畵)의 대가로 평가되는 다니 분초[谷文晁][1763~1840]의 그림을 모방하여 그린 그림이다. 통신 사행에 같이 참여한 진동익(秦東益)[1773~?]이 그림에 제시(題詩)를 직접 짓고 썼다. 이의양은 조선 후기 도화서 화원으로 본관은 안산(安山), 자는 이신(爾信)이다. 그리고 신원(信園), 운재(雲齋), 팔송관(八松觀) 등의 호를 썼다. 19세기의 도화서 화원으로 화명이 높았던 이한철(李漢喆)[1808~1880]은 그의 아들이다. 이의양 필 산수도는 2007년 9월 7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이의양 필 산수도는 크게 근경(近景)과 원경(遠景)의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경에는 약간 가파르게 솟은 언덕과 그 위에 높게 자라난 나무들이 화면 우측에, 부분적으로 구름으로 덮인 숲과 이 숲에 둘러싸인 가옥들이 화면 좌측에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 곳을 연결하는 다리와 그 위를 건너는 인물이 화면 하단 중앙에 그려져 있다. 원경에는 ‘Y’ 자 형태의 주산(主山)이 중앙에, 그 양측에는 그보다 낮은 산이 솟아 있다. 주산과 우측 산의 경계에는 폭포가 흘러내리고 있고, 주산과 좌측 산의 경계에는 구름이 짙게 깔려 있다. 전경(前景)과 후경(後景)은 구름으로 분명히 구분되어 있다.

그림 상단 오른쪽에 진동익이 직접 쓴 제시가 적혀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다니 분초의 그림을 모방하다. 해외에서 묵연으로 교법을 펼치니, 신원이 그린 그림의 풍미가 또한 아름답고도 새롭구나! 큰 산은 푸르니 누가 보아도 어찌 이리 비슷한가, 그림 속 인물은 꿈속에 나타난 사람과 마찬가지이네[倣谷文晁畵 海外墨緣轉法輪 信園風味亦倩新 舃山靑眼眼何似 畵裏人應夢裏人 朝鮮淸翁評].” 그림 하단 우측에는 ‘조선 신원 이신(朝鮮信園爾信)’이라 쓴 이의양의 낙관(落款)이 있다.

[특징]

일본 화가 다니 분초는 남종화는 물론 야마토에[大和繪], 불화, 북종화, 서양화까지 두루 섭렵했던 에도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이다. 제시를 쓴 진동익은 그의 그림을 모방한 그림이라 했으나, 실제로 이의양이 그의 어떤 그림을 모방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이의양 필 산수도는 중국 원대(元代)의 대표적 문인화가인 황공망(黃公望)[1269~1354]의 화풍, 특히 조선에서 이해된 황공망의 산수화풍과 관련이 있다.

전경의 언덕과 나무 그리고 후경의 주산으로 이루어진 2단 구성, 반두(礬頭)가 촘촘히 그려진 후경의 주산 표현, 피마준(披麻皴)이 두드러지게 사용된 근경의 언덕 표현, 주산 주변에 그려진 구름 표현은 이영윤(李英胤)[1561~1611]의 「방황공망 산수도(倣黃公望山水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장승업(張承業)[1843~1897]의 「방황자구 산수도(倣黃子久山水圖)」[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등 조선 시대 황공망의 산수화를 모방한 그림들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요소들이다. 따라서 이의양 필 산수도이의양이 황공망의 화풍을 짙게 반영한 다니 분초의 산수화를 참조해 그린 작품으로 여겨지지만, 한편으로는 그가 자신이 조선에서부터 능숙하게 구사했던 남종화풍을 토대로 완성한 그림으로도 보인다.

[의의와 평가]

이의양 필 산수도는 조선의 화원이 일본 화가의 작품을 모방하여 그렸다는 사실로 한일 문화 교류 연구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이의양 필 산수도에 황공망의 화풍이 강하게 반영된 사실은 이의양이 황공망 계통의 남종화를 능숙하게 구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조선 시대 남종화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