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480
한자 御前濬川題名帖
영어음역 Eojeonjuncheonjemyeongcheop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성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60년연표보기 - 어전준천제명첩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9월 7일연표보기 - 어전준천제명첩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어전준천제명첩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8년 2월 11일 - 황태섭 기증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원소재지 황태섭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동
성격 회화
작가 김희성 등
소유자 부산광역시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후기 준천 공역의 기념 화첩.

[개설]

영조는 1760년 2월 18일부터 4월 15일까지 57일간에 걸쳐 청계천 준천(濬川) 공사를 대대적으로 실시하였다. 공역이 끝난 후 영조는 자신의 행적과 공사에 참가한 공로자들에 대한 사은(賜恩) 장면을 도해한 그림으로 화첩을 꾸미게 했다. 또한 준천 공사 후 춘당대(春塘臺)에서 개최한 행사에서 자신 및 여러 신료들이 지은 시가 함께 들어가 있다. 어전준천제명첩(御前濬川題名帖)은 이때 제작된 계첩 중 하나로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007년 9월 7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어전준천제명첩은 「준천 소좌목(濬川所座目)」[2면], 「수문상 친림 관역도(水門上親臨觀役圖)」[2면], 「영화당 친림 사선도(暎花堂親臨賜膳圖)」[2면], 어제(御製)[2면], 어제 및 어제시[4면], 입시 관원(入侍官員) 16인의 사언시(四言詩)[16면]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첫 장의 「준천 소좌목」은 준천을 총괄한 3정승 등의 명단을 적은 것으로 목판으로 인쇄한 것이다. 「수문상 친림 관역도」는 준천 공역이 한창이던 때 영조가 공사장에 행차하여 준천의 현장을 관람한 일을 묘사한 그림이다. 「영화당 친림 사선도」는 준천 공사 완료 후 영조가 창덕궁 후원의 춘당대에서 준천 공역에 공이 있는 신료들에게 잔치 등을 베풀며 그동안의 노고를 치하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수문상 친림 관역도」와 「영화당 친림 사선도」는 모두 비단에 그려졌다.

어제는 춘당대 행사에서 영조가 준천 공역에 참가한 신료들에게 내린 글이며, 어제 및 어제시는 ‘역(力)’ 자와 ‘국(國)’ 자를 운(韻)으로 하여 사언시를 지은 뒤 입시(入侍)한 신료들로 하여금 이 두 글자를 운으로 하여 시를 짓게 한 내용을 적은 글이다. 이때 어제는 흑지(黑紙)에 백분(白粉)으로 작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춘당대 행사에서 입시한 신료들이 갱진(賡進)한 시 16편이 실려 있다.

[특징]

1760년에 있었던 준천 공역과 관련하여 제작된 계첩은 현재 6점 정도가 알려져 있다. 이 계첩들은 크게 「영화당 친림 사선도」 1점 및 춘당대 행사에서 신료들이 지은 시들이 수록된 것과, 신료들의 시가 없는 대신에 「영화당 친림 사선도」 외 3점의 그림이 더 수록된 것 등 두 유형으로 나뉜다. 이런 측면에서 두 유형의 계첩은 서로 다른 그룹의 인사들이 각각 별도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본은 이 두 유형의 계첩의 내용 일부가 섞여 있어서 주목된다. 즉 「영화당 친림 사선도」 외에 그림 1점이 더 실려 있으면서 신료들의 시문이 함께 수록된 것이다. 따라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어전준천제명첩은 후대에 누군가가 두 유형의 계첩을 합쳐 장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어전준천제명첩은 조선 시대 궁중 행사도 중 서문이나 발문에 왕명에 따라 제작되었음을 밝힌 작품 가운데 가장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어전준천제명첩은 준천 공역 관련 그림 외에 영조와 신료들이 지은 시가 포함되어 있어 1760년 준천 행사의 전반적인 사항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