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다식판(1)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946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茶食板-一-
영어의미역 Board for Producing Pattern-pressed Candy,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장경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다식판
재질 나무
크기 53.8㎝[길이]|17.2㎝[높이]|7㎝[너비]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다식판(茶食板).

[개설]

다식판은 밤·대추·송화(松花)·쌀·깨 등의 가루를 꿀과 엿 등으로 반죽하여 만드는 음식인 다식의 문양을 찍어 낼 때 사용된 조과품(造菓品)이다. 위아래 두 쪽으로 나누어지는데, 밑판에는 3㎝가량의 둥근 모양이 8~10개 볼록하게 솟아 있고, 표면에는 수(壽)·복(福)·강(康)·녕(寧)이나 ‘卍’ 자 문양·꽃문양 등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위 판에는 아래 판에 꼭 맞게 둥근 구멍이 뚫려 있고 상하의 판 사이에 끼는 받침대가 있다. 다식을 박을 때 위 판을 올려 괴고 구멍에 반죽을 넣어 눌러 찍으면 된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다식판(1)(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茶食板(一))의 크기는 길이가 53.8㎝, 높이가 17.2㎝, 너비가 7㎝이다. 위 판에는 톱니 모양의 구멍이 뚫려 있고, 밑판에는 꽃잎이 가지는 형태와 이미지가 경사스러운 음식에 잘 어울리는 국화 문양 7개가 새겨져 있다. 좌우 측면은 중층 누각형의 지지대로 위 판과 밑판을 연결한 특이한 형태를 띠고 있다.

[특징]

이면에는 ‘길상면 온수[답□, 택□]광□□□식판(吉祥面溫水[沓□,宅□]光□□□植版)’이라는 묵서가 있는데, 명문의 내용으로 보아 큰 잔칫날에 남의 집 다식판을 빌려다가 사용할 때 다식판이 바뀌거나 소유주를 잊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소를 썼던 것으로 짐작된다.

[의의와 평가]

다식판은 조선 시대에 제례·혼례·회갑연 등의 행사가 있을 때 필수품이었으므로, 집안에서 소중하게 보관하며 대를 이어 사용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다식판에 주소나 주인의 이름 등을 새겨 분실에 대비하려 하였는데,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다식판(1)에서도 명문을 통해 이와 같은 사정을 잘 살필 수 있다. 또한 조선 시대의 목공예, 식기, 식문화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