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933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石製- |
영어의미역 | Stone Inkston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이칭/별칭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돌벼루,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연(石硯)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장경준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일제 강점기의 석제 벼루[石硯].
[개설]
벼루[硯]는 먹을 갈아 먹물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구로 문방사우(文房四友) 중 하나이다. 먹물이 모이는 오목한 곳을 묵지(墨池)·연지(硯池)라고 하고, 먹을 가는 부분을 연당(硯堂)·연홍(硯泓)이라고 한다. 모양은 원형을 비롯해 사각형·육각형·팔각형·12각형 등 매우 다양하며, 물건의 형태를 본떠 만든 것도 있다. 크기 역시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다. 재료는 주로 돌이 사용되며, 옥·수정·도자·철·금동·은·대나무·조개껍데기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에 도제 원형 벼루와 석제 원형 벼루가 만들어졌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는 연지 외벽과 발에 조각이 된 벼루도 제작되었다. 고려 시대 이후에는 돌벼루가 일반화되었으며, 조선 시대에 들어서서는 크기와 형태, 장식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고 돌벼루뿐 아니라 자연(磁硯)도 만들어졌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제 벼루[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石벼루]는 총 2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제 벼루①의 크기는 길이가 16㎝, 너비가 11㎝, 높이가 2.5㎝이다.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장방형에 먹을 가는 부분을 표주박 형태의 검은 돌로 만든 벼루로, 가장자리에 나뭇잎 문양이 새겨져 있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제 벼루②의 크기는 길이가 15㎝, 너비가 8.2㎝, 높이가 2.5㎝이다. 장방형의 검은 돌로 만든 벼루로, 윗부분과 좌측면에 구름과 폭포 문양으로 보이는 무늬가 새겨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반듯하게 홈을 파서 먹을 갈았다.
[특징]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제 벼루①은 먹을 가는 부분이 표주박 형태를 띠고 있는데, 이는 일월연(日月硯)[먹을 가는 부분은 둥근 해의 모양, 물을 담는 오목한 앞부분은 둥근 달의 모양으로 만든 벼루]의 퇴화 양식으로 보인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석제 벼루②는 가운데 부분이 움푹 파여 있으며, 한쪽 옆면 가운데 부분이 한 조각 떨어져 나갔다.
[의의와 평가]
조선 시대와 일제 강점기에 각각 제작된 벼루로서 벼루의 제작 기법과 문양의 변화 등을 살펴보는 데 유익할 뿐만 아니라, 조선 시대 이후의 문화생활, 특히 문방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