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활·화살 일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926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一括
영어의미역 Sets of Bows and Arrows,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이칭/별칭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궁시품 일괄(弓矢品一括)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장경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활|촉돌이|활깍지
재질 나무|골각
크기 37.7㎝[활 직경]|8.7㎝[촉돌이 길이]|4.4㎝~5.4㎝[활깍지 길이]|2.3㎝~2.5㎝[활깍지 너비]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활과 촉돌이와 활깍지.

[개설]

활은 대나 나무 또는 쇠를 반달 모양으로 휘어서 두 끝에다 시위를 걸고, 화살을 시위에 걸어 당겼다 놓으면 줄의 탄력을 받아 화살이 튀어 나가는 무기이다. 보통 그 크기에 따라 장궁(長弓)과 단궁(短弓)으로 나뉜다. 장궁은 궁간(弓幹)이 길어 2m 이상에 이르며, 단궁은 반대로 궁간이 짧아 2m 이하가 보통이다. 재료에 따라 통목 궁[통나무 활(丸木弓)]과 복합궁(複合弓)으로 나누어지는데, 통목 궁은 나무나 대나무의 한 가지 재료로 제작된 것이며, 대개 장궁이다. 복합궁은 나무, 대나무, 뿔[角] 그리고 건(腱)[힘줄] 등을 붙여서 만든 활이며, 대개 단궁이다.

우리의 각궁(角弓)은 단궁이자 복합궁이며 그 성능이 뛰어나 사정거리가 길다. 각궁은 조선 시대의 가장 대표적인 무기로, 무소뿔[黑角, 水牛角], 참나무, 소 힘줄, 실 등의 여러 재료를 복합해서 독특한 기술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그 탄력성이 외국의 활에 비해 탁월하다. 각궁 제작에 쓰이는 재료로는 무소뿔, 소 힘줄, 대나무, 뽕나무 조각, 민어부레풀[魚膠], 화피(樺皮) 등이 있다.

촉돌이는 화살촉을 뽑거나 박는 데에 사용하는 도구이며, 활깍지는 활쏘기를 할 때 시위를 당기는 엄지손가락에 씌우는 쇠뿔로 만든 덮개로 활쏘기의 중요한 장비이다. 활깍지는 형태에 따라서 암깍지, 숫깍지, 덕깍지로 나뉘며, 재료로는 쇠뿔, 상아, 놋쇠 등이 사용된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활·화살 일괄[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弓矢品一括]은 활과 촉돌이, 활깍지로 구성되어 있다. 활의 직경은 37.7㎝이다. 손잡이 부분에 검은 천이 싸여 있고, 아래에 세 부분으로 끈을 매 놓았다. 촉돌이는 고깔 모양으로 가운데에 금속 고리가 달려 있다. 길이는 8.7㎝이다. 4개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아랫부분에는 주름 무늬가 있다. 활깍지는 모두 3개인데, 크기는 길이가 4.4~5.4㎝, 너비가 2.3~2.5㎝이다. 윗부분은 꼭지 모양이며 아랫부분은 원형으로 중앙에 손가락을 거는 구멍이 있다.

[특징]

활은 오래되어 칠이 벗겨져 있으며, 사용하여 닳은 흔적이 있다. 촉돌이는 사용한 흔적이 있으며 오래되어 때가 묻어 있다. 활깍지는 닳은 흔적이 보이며, 1점은 일부분이 금이 가고 깨진 부분도 보인다.

[의의와 평가]

활과 활깍지, 촉돌이는 조선 시대 활쏘기의 필수적인 장비로서 당시의 제작 기법과 무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