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청자 음각 장길명 유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910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靑磁陰刻長吉銘油甁
영어의미역 Celadon Intaglio Oil Bottle with Letters,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성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청자
재질 도토
크기 2.6㎝[입 지름]|4.0㎝[높이]|4.7㎝[굽 지름]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장길’이라는 명문이 시문된 고려 시대의 청자 유병.

[개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청자 음각 장길명 유병(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靑磁陰刻長吉銘油甁)은 고려 중기 12세기경에 제작된 청자 유병이다. 유병은 동백유와 같은 머릿기름이나 향유(香油) 등을 담는 작은 병으로서, 여성들의 화장 용기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1939년 4월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모산리 고려 고분에서 출토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상감 투각 귀갑문 상자(靑磁象嵌透刻龜甲文箱子)의 경우 발굴 당시에 이러한 유병과 장방형의 동경(銅鏡), 은제 침통(銀製針筒) 등이 작은 합 여러 점과 함께 들어 있었으므로, 이러한 유병이 본래 소형 합이나 거울과 함께 일괄로 쓰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유태의 상태가 양호하지는 않지만 ‘내화토 받침’이나 기종의 특성을 고려할 때에 고려 중기인 12세기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가장 일반적인 형태라 할 수 있는 광구형(廣口形) 아가리와 짧은 목, 주판알과 유사하게 납작하지만 곡선의 형태인 몸통 부분[동체부(胴體部)], 비교적 넓은 굽을 가졌다. 아가리의 한 곳에 미세한 결실부가 있으나 크게 손상되거나 복원된 부위가 없는 완형(完形)이다. 태토(胎土)에는 모래알갱이[사립(沙粒)]이 일부 섞여 있으며, 시유시 유약(釉藥)을 굽 안 바닥까지 시유하였으나, 소성시에는 굽바닥의 유약을 훑어 낸 후에 내화토(耐火土)[고온에서 견디는 성질이 강한 모래흙]를 네 곳에 받친 흔적이 남아 있다. 유약은 반투명한 녹갈색 계통이며, 전면에 작은 식은태[빙렬(氷裂). 유약을 바른 표면에 가느다란 금이 가 있는 상태]가 형성되어 있다. 어깨 부분에는 연판문(蓮瓣文)[펼쳐놓은 연꽃잎 모양을 도안화한 무늬]과 횡으로 긴 선을 음각하였으며, 그 사이에 ‘장길(長吉)’이라는 명문이 시문되어 있다. 입 지름은 2.6㎝이고, 높이는 4.0㎝, 굽 지름은 4.7㎝이다.

[특징]

전체적인 색조가 양호하지 않고 표면에 잡티가 많이 부착되어 있다. 직립하는 반구형 아가리 형태와 곡선적인 마름모꼴의 측면선, ‘장길’명을 음각한 점 등이 특징적이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청자 음각 장길명 유병은 여러 점의 소형 합, 청동 거울 등과 함께 한 세트로 큰 합이나 상자에 담겨져서 화장 도구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중기의 유병으로서 명문이 시문되어 있는 흔치 않은 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