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쌍조문 수막새(2)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849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雙鳥文-
영어의미역 Double Birds-design Convex Tiles
이칭/별칭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쌍조문 원와당(雙鳥文圓瓦當)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집필자 이희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기와|수막새|쌍조문 수막새
재질 토제
크기 23.5㎝[길이]|13㎝[직경]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쌍조문 수막새.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쌍조문 수막새(2)[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雙鳥文圓瓦當(二)]는 길이 23.5㎝, 직경 13㎝ 크기의 토제품이다. 토기와 같은 태토로 높은 열에서 소성하였으며, 색조는 회백색을 띤다. 둥근 수막새의 가장자리에는 연주문(連珠文)이 규칙적으로 돌아가고, 가운데에는 꽃 위에 날개를 펴고 서 있는 한 쌍의 새가 서로 마주하여 꽃을 물고 있다. 뒷면에는 제작 시에 붙였던 직물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물 손질로 뒷마무리를 하였다.

[특징]

쌍조문 와당은 새의 부리에 리본 같은 수대(綬帶), 영락(瓔珞), 그리고 화지(花枝)를 있는 형상을 보여 함조문(唅鳥文)으로 칭하기도 한다. 이 문양은 둥근 수막새, 횡으로 길쭉한 암막새에 모두 나타나는데, 암막새에는 많은 새들이 나란히 줄을 지어 표현되는 반면 수막새에는 쌍조(雙鳥)가 표현되는 것이 많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쌍조문 수막새(2)는 분황사(芬皇寺), 영묘사지(靈廟寺址)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하며, 7세기 후반부터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쌍조문 수막새(2)의 가장자리 연주문과 중앙에 장식된 일명 수하 쌍조문(樹下雙鳥文)은 이란 사산 왕조의 미술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명을 상징하는 주술의 의미가 있었다. 이 문양들은 서역에서 유래하여 당나라 수도 장안을 거쳐 신라로 유입된 것으로, 이를 통해 중앙아시아와 중국, 신라의 문화적 교류를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