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빗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838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
영어의미역 Comb Container,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이칭/별칭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소함(梳函)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장경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화장구|빗접
재질 나무
크기 27.3㎝[가로]|26.6㎝[세로]|28.2㎝[높이]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시대의 빗접.

[개설]

빗접은 빗질할 때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 놓는 기름종이[퇴발낭(退髮囊)]와 빗, 빗치개, 빗솔, 비녀 등의 소도구를 넣어 두기 위한 화장구이다. 빗접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된 경대는 거울이 달린 형태이지만, 빗접은 거울이 달려 있지 않으며 경대보다 이전부터 사용되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빗질이 필수 일과이기도 하였지만, 빗질할 때 빠진 머리카락을 1년 동안 모아 두었다가 정월 초하루 저녁에 태움으로써 1년 동안 무사하기를 기원하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남자들의 방에도 빗접이 비치되기도 하였다.

빗접은 사용 재료에 따라 기름에 절인 종이로 만든 소첩과 나무로 만든 소갑(梳匣)이 있다. 소첩 중에서 기름종이를 여러 겹 겹쳐 고비 형태로 만든 것을 빗접고비라고 한다. 소갑은 사용자에 따라 색채, 크기, 형태 등이 다양하다. 여성용은 나무의 표면에 주칠(朱漆)을 하거나 나전(螺鈿)으로 시문하고, 30㎝ 정도의 높이에 서랍을 2~3층으로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위 서랍에는 주로 머리 빗는 도구를 넣고 아래 서랍에는 분이나 기름 등을 넣었다. 남성용은 크기가 목침 정도로 여성용보다 작으며, 갑 안팎을 옻칠하거나 오동나무로 만들고 인두로 지져서 색깔을 내었다. 문양으로는 수복(壽福), 쌍학(雙鶴), 어문(魚紋) 등이나 장식적인 당초문을 많이 사용하였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빗접의 크기는 가로가 27.3㎝, 세로가 26.6㎝, 높이가 28.2㎝이다. 거울이 없이 4개의 서랍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각이 있는 받침 위에 상하로 긴 서랍을 두었고, 그 중간에 2개로 나눈 크기의 서랍을 3단으로 구성하였다. 부분적으로 오래되어 벗겨진 부분이 있으며, 뒷면에는 깨어져 나간 부분도 있다.

[특징]

서랍의 전면에는 광채가 나는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박아 넣거나 붙이는 장식 기법[나전기법(螺鈿技法)]으로 매화꽃, 대나무, 새 등의 화조가 표현되어 있으며, 서랍 전면에는 활형 들쇠와 고리형 들쇠가 부착되어 있다. 양 측면과 후면에는 모란꽃으로 보이는 그림이 도드라지게 표현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빗접은 조선 시대에 제작된 화장구로서, 당시의 주거 생활과 생활용품, 화장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