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운학문 표형 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813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象嵌雲鶴文瓢形甁
영어의미역 Grayish-blue-powdered inlaid work cloud and crane-design small bottl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분청사기
양식 상감 기법|운학문|주름문
재질 도토
크기 12.2㎝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운학문이 시문된 조선 전기 분청사기 병.

[개설]

15세기 초에 제작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운학문 표형 병(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象嵌雲鶴文瓢形甁)은 표주박 형태의 자기로 아래의 큰 박과 위쪽의 작은 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병(甁)과 주구(注口)와 손잡이가 달린 주전자[注子]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형태는 고려 시대인 12~13세기에 청자로 많이 제작되었으나 조선 시대 분청사기에는 그 예가 매우 드물다.

[형태]

구형(球形)에 가까운 아래의 큰 박에 비해 위쪽의 작은 박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 구연은 짧게 직립하였으며, 지름이 1.4㎝로 좁다. 고려 시대 표형 청자(瓢形靑磁)의 예에 비추어 볼 때에 뚜껑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유실되고 없다. 높이는 12.2㎝이다.

[특징]

병의 몸통인 아래쪽 큰 박의 상하에 각각 겹선을 두르고 길이와 형태가 균일하지 않은 파상문(波狀文)을 전면에 채웠다. 몸체의 4곳에 학(鶴)을 배치하였으며, 문양은 모두 백상감 기법으로 장식하였다.

[의의와 평가]

몸체가 표주박의 형태인 표형 자기는 고려 시대인 12~13세기에 많이 제작되어 고려 후기까지 이어졌으나, 15세기 인화 기법의 분청사기에는 그 예가 매우 드물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운학문 표형 병은 고려 후기 청자의 여운이 남아 있는 조선 초기의 표형 자기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즉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이행하는 과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