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812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象嵌雲鶴文小甁 |
영어의미역 | Grayish-blue-powdered Inlaid Work Cloud and Crane-design Small Bottl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기명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경자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운학문이 시문된 조선 전기 분청사기 병.
[개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운학문 소병(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象嵌雲鶴文小甁)의 문양은 구름 사이를 날고 있는 학을 표현한 것으로, 고려 중기의 청자 때부터 음각 기법으로 장식되었으며,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간지명 상감 청자(干支名象嵌靑磁)의 주제 문양 중의 한가지였다. 고려 후기 청자에 표현된 운학문은 학을 상감 기법으로, 구름은 인화 기법(印花技法)[문양 도장을 가지고 압인하는 기법]으로 장식한 것이 특징이고 구름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운학문 소병은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몸통의 중심 아래쪽에 최대경(最大徑)이 있는 높이 10.4㎝의 작은 병이다. 굽은 몸통의 양감에 비해 큰 편이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좁아진다.
[특징]
상하에 각각 겹선을 두른 병의 몸통 전체에 세로 방향의 짧고 주름진 선[파상선(波狀線)]을 백상감 기법으로 장식하였다. 그 사이에 3마리의 학을 장식하였으며, 학의 부리와 두 다리는 흑상감(黑象嵌)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운학문 소병은 고려 중기부터 상감 청자에 많이 나타난 운학문이 고려 후기인 14세기에 이르러 구름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한 한 예이다. 이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까지 상감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양식이 변화하는 과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