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808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象嵌魚文梅甁 |
영어의미역 | Grayish-blue-powdered Inlaid Work Fish-design Prunus Vas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기명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경자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물고기 등이 시문된 조선 전기 분청사기 매병.
[개설]
15세기 전반에 제작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어문 매병(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象嵌魚文梅甁)은 어깨가 넓고 아래쪽이 홀쭉하며 좁고 납작한 구연(口緣)[ 아가리]이 몸통에 붙은 병으로 뚜껑이 있다. 고려 시대에는 ‘준(樽)’이라고도 하였으며 꿀 등의 액체를 담는 용도로 쓰였다. 고려 시대부터 청자와 백자로 제작되었고, 조선 전기에는 분청사기로 제작되었다.
[형태]
고려 말에서 조선 초까지 제작된 매병의 몸통은 대체로 구형(球形)에 가까워 아래로 내려와 굽에 이르는 측면선이 뚜렷한 ‘S’ 자를 이룬다. 이에 비해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어문 매병의 몸통은 당당한 어깨에서 아래로 내려오며 완만하게 좁아져 고식(古式)을 띠고 있으며, 몸통의 아래쪽은 상대적으로 매우 좁다. 높이는 26.1㎝이다.
[특징]
양감이 있는 몸통의 중심에는 크기가 다른 물고기, 단순화된 새, 나뭇잎을, 어깨에는 연꽃잎 무늬[연판문(蓮瓣文)]를, 몸통 아래쪽에는 파초문(芭蕉文)을 상하로 백상감을 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어문 매병은 기종(器種)과 형태가 고려 시대의 매병을 따르고 있으나, 문양의 중심 소재인 물고기의 표현은 고려 시대의 상감 청자와는 다른 특징을 띠고 있어, 고려 말기의 퇴락한 상감 청자에서 유래한 15세기 초반에 만들어진 분청사기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