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당초문 장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807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象嵌唐草文杖鼓
영어의미역 Grayish-blue-powdered Inlaid Work Arabesque-design Janggo,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분청사기|장고
재질 도자기
크기 57㎝[길이]|23.8㎝[좌측 구경]|19㎝[우측 구경]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전기의 분청 상감 당초문 장고(粉靑象嵌唐草文杖鼓).

[개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상감 당초문 장고(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粉靑象嵌唐草文杖鼓)는 조선 시대 초기인 15세기 전반에 자기로 만든 장고이다. 연회나 의례에 사용된 악기로, 오른편은 채(杖)로 치고 왼편은 손으로 쳐서 연주한다. 장고는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부터 나무, 토기[도기], 자기 등으로 제작되었다.

[형태]

크기는 길이가 57㎝, 좌측 구경이 23.8㎝, 우측 구경이 19㎝이다. 가운데 부분을 접합한 원통형의 허리[졸목[腰]] 양쪽 끝에 넓게 벌어진 울림통이 있다. 양쪽 울림통 구연부의 형태는 오른쪽은 끝이 좁아졌고, 왼쪽은 벌어졌다. 좌우를 따로 만들어 접합하였기 때문에 이음새 흔적이 있다.

[특징]

양쪽 울림통의 형태가 다르지만 문양대의 구성은 좌우 대칭이다. 원통형의 허리에는 도장으로 찍은 인화문대(印花文帶)를, 울림통이 벌어지는 부분에는 연판문을, 울림통에는 당초문대(唐草文帶)를 백상감 기법(白象嵌技法)으로 장식하였다.

[의의와 평가]

분청 상감 장고는 고려 전기부터 제작되었는데, 여백이 많고 주된 장식 기법이 상감 기법으로 조선 전기인 15세기 초반의 양식을 띠고 있다. 또한 자기로 만든 장고는 알려진 예가 적어 자료로서의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