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박지 모란 엽문 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806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紛靑剝地牡丹葉文甁
영어의미역 Grayish-blue-powdered Scraped Peony Leaf-design Bottle,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박경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분청사기
양식 박지 기법|모란엽문|연판문
재질 도토
크기 30.0㎝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모란 잎과 연꽃잎이 시문된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병.

[형태]

15세기에 제작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분청 박지 모란 엽문 병(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紛靑剝地牡丹葉文甁)은 회청색의 태토(胎土) 위에 백토를 두껍게 발라 분장을 한 다음, 병의 몸통에 모란 잎의 형태를 새기고 문양 이외의 여백을 긁어 낸 박지 기법(剝地技法)을 사용하였다. 병의 어깨 부분에는 몸통과 마찬가지로 음각[조화] 기법과 박지 기법으로 연꽃잎인 연판문(蓮瓣文)을 장식하였다. 양감이 있는 병의 몸통은 안정감이 있고, 몸통을 받치고 있는 굽은 아래로 내려가며 안쪽으로 좁아져 몸통과 조화를 이루었다. 굽과 몸통의 경계 부분에 일반적인 병의 형태에는 없는 돌출된 부분이 있다. 높이는 30.0㎝이다.

[특징]

두꺼운 백토 분장과 박지 기법으로 표현한 활달한 모란 잎, 그리고 독특한 형태의 굽통을 이용하여 굽을 깎는 과정에서 나타난 몸통과 굽 경계 부분의 돌출된 부분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15세기에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 가마터에서 제작된 분청사기의 특징과 동일하다.

[의의와 평가]

분청사기는 제작 지역에 따라 문양의 형태와 장식 기법 등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이 병은 특히 제작 기법에서 전라도 지역의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어서 조선 전기인 15세기 분청사기의 성격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