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바리 모양 그릇 받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755
한자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
영어의미역 Vessel Stand,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서영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그릇 받침
양식 원문
재질 도토기류
크기 25.8㎝[높이]|27.6㎝[구경]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4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삼국 시대 초기의 와질제 그릇 받침.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바리 모양 그릇 받침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발형 기대(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鉢形器臺)]는 와질 토기로 형태와 소성 상태는 아주 양호하다. 색조는 회백색을 띠며, 몸통 상단과 아가리 부분은 일부 회황색을 띤다. 태토는 장석이 소량 함유된 정선된 점토이다. 형태는 무엇인가 올리기 위한 몸통 부분과 다리 부분으로 나뉘며, 전체적으로 두툼한 돌대를 돌려 장식하였다. 다리와 몸통은 따로 제작하여 접합하였는데, 다리는 곧게 원통상으로 내려오다가 밖으로 급격하게 벌어지는 형태이다. 다리 부분은 상부 1조, 하부 3조의 돌대를 돌려 3단으로 구획하고, 하부 2단은 투공과 원문으로 장식하였다.

원문은 중앙에 점을 중심으로 원을 그린 컴퍼스 동심원이다. 하단 동심원문은 원을 그리기 위한 점과 원 2개가 1조를 이루며 5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그려져 있다. 상단은 동심원문 4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원문과 원문 사이에는 삼각형 투창이 배치되어 있다. 몸통과 다리 경계에는 1조의 돌대를 돌렸으며, 몸통 외면에도 두툼한 돌대 2조를 돌렸다. 아가리 부분은 거의 ‘V’자상으로 꺾여서 위에서 보면 끝단이 일정한 면을 이루고 있다. 전체 높이는 25.8㎝, 구경은 27.6㎝이다.

[특징]

전체적으로 두툼한 돌대로 장식되었으며, 다리 부분에는 동심원문과 삼각형 투창이 뚫려 있다. 몸통은 바리(鉢) 모양으로 구연단이 급격하게 꺾이는 형태이다.

[의의와 평가]

삼국 시대 성립기인 4세기 대 와질제 발형 기대로, 원통형으로 내려오는 좁은 다리와 삼각형 투창, 동심원문 등은 경상남도 함안 서쪽 지역 토기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후 도질화된 발형 기대로 이어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