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722 |
---|---|
한자 | 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角杯臺 |
영어의미역 | Horn Glass Stand, Collection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Museum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기명류 |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63[대연동 948-1] |
시대 | 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최정혜 |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삼국 시대의 토제 각배대.
[개설]
소나 물소 등의 짐승 뿔을 이용해서 만든 잔을 각배(角杯) 또는 뿔잔이라고 한다. 또한 흙이나 금속을 이용하여 만든 같은 형태의 그릇도 각배라고 한다. 짐승의 뿔을 이용해서 만든 각배는 그 실물이 전해지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흙이나 금·은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만든 각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알려져 왔다. 각배를 세워서 보관 할 수 있는 받침을 각배대(角杯臺)라고 하며 흙이나 금속으로 제작하였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각배대(釜山廣域市立博物館所藏角杯臺)는 토제품으로 정확한 출토지는 알 수 없으며, 각배대의 기형적인 특징으로 보아 삼국 시대에 제작되었다.
[형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각배대는 완형으로 잔존 상태는 양호하며, 소성 상태가 좋은 경질 제품이다. 태토는 정선된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색조는 어두운 갈색을 띤다. 이단투창고배의 동체부 바닥에 2개의 잔 받침이 부착된 형태로 잔의 바닥은 뚫려 있다. 잔은 입부분이 큰 항아리[광구소호(廣口小壺)]의 구경부 형태와 비슷하며, 가운데에 1조의 돋을띠무늬[돌대(突帶)]를 돌렸다. 대각(臺脚)에는 다섯 개의 투창을 엇갈리게 뚫었으며, 투창 사이에는 파상문이 시문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각배를 세울 수 있는 토제 각배대로 기형적인 특징으로 보아 5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당시의 토기 문화를 살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