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윤일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714
한자 尹日善
영어음역 Yun Ilseon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하유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언론인|의사
성별
본관 해평(海平)
대표경력 MBC 부산문화방송 이사
출생 시기/일시 1896년 10월 5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19년 - 오카야마 제6고등학교 의예과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23년 - 일본 교토제국대학 의학부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29년 - 교토제국대학 의학박사 학위 취득
활동 시기/일시 1930년 -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8년 - 대한의학협회 회장에 선출
활동 시기/일시 1953년 - 서울대학교 대학원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정년퇴임
몰년 시기/일시 1987년 6월 22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일본 도쿄[東京]
학교|수학지 오카야마 제6고등학교 - 일본 오카야마[岡山]
학교|수학지 교토제국대학 - 일본 도쿄
활동지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 지역의 MBC 부산문화방송 이사를 지낸 언론이이자 의사.

[가계]

본관은 해평(海平). 조선 선조 때 정승을 지낸 윤두수(尹斗壽), 윤근수(尹根壽) 형제의 후손이다. 할아버지 윤영렬과 종조할아버지 윤웅렬 형제가 무관으로 중앙에 진출하여 가세를 일으켰고, 당숙 윤치호(尹致昊)는 대한 제국 말기의 교육가·정치가로 활약하였다. 1896년 10월 5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아버지 윤치오(尹致旿)와 어머니 이숙경의 큰아들로 태어났다. 윤일선(尹日善)의 사촌 동생은 제4대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尹潽善)이다.

[활동 사항]

윤일선은 1915년 경성중학교, 1919년 일본 오카야마 제6고등학교[岡山第六高等學校] 의예과, 1923년 교토제국대학[京都帝國大學] 의학부를 졸업하였다. 1929년 교토제국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0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가 되었으며, 일제 강점기 말 ‘미영 타도 대강연회’에 연사로 참여한 적이 있다. 해방 후인 194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1948년 대한의학협회 회장, 195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1년에 정년으로 퇴임하였다.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전권을 장악한 국가재건최고회의는 부산 지역의 사업가 김지태(金智泰)를 부정 축재자로 지목하고 그로부터 MBC 부산문화방송과 한국문화방송, 부산일보사와 부일 장학회를 빼앗아 ‘재단법인 5·16장학회’를 만들었다. 이처럼 군사 정부가 조장한 억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1962년 8월 12일 MBC 부산문화방송의 제9회 임시 주주 총회가 열려 경영진이 교체되었는데, 윤일선은 이때 취체역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1965년 3월 이사로 보직 변경되었다가, 1965년 10월 18일 이사진 변동에 따라 5·16장학회 이사를 사임하면서, 동시에 MBC 부산문화방송 이사직에서도 사임하였다.

윤일선은 정치 활동에도 적극적이어서 1963년 2월 윤치영과 민주공화당 창당에 참가하였고, 민주공화당 서울시지구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그 외에도 원자력병원 원장, 3·1 문화상 심사위원장,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이사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다 1987년 6월 22일 사망하였다.

[상훈과 추모]

1955년 7월 대한민국 학술원상, 1956년 4월 서울특별시 문화상, 1961년 10월 문교부 장관 표창장, 1962년 11월 문화 훈장, 1963년 3월 1일 3·1 문화상, 1979년 12월 21일 연암문화재단 감사패를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