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윤병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688
한자 尹炳騏
영어음역 Yun Byeonggi
이칭/별칭 성원(成圓)
분야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108번길 22[온천동 37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용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자|교수
성별
본관 칠원
대표관직|경력 부산대학교 법정대학 학장
출생 시기/일시 1920년 11월 4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3년 - 동지사대학 정치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43년 9월 - 마이니찌신문사 입사
활동 시기/일시 1948년 3월 - 동아대학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1년 9월 - 부산대학교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9년 5월 - 부산대학교 법정대학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0년 - 국민 훈장 동백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1년 4월 - 부산대학교 법정대학장 퇴임
활동 시기/일시 1976년 - 장기 근속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7년 6월 - 부산대학교 법정대학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9년 5월 - 부산대학교 법정대학장 퇴임
활동 시기/일시 1980년 - 보국 훈장 천수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문화교육부 장관 표창, 교육 연공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6년 2월 - 부산대학교 교수 정년 퇴임
활동 시기/일시 1989년 - 부산정치학회 초대 회장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998년 10월 6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거제 - 경상남도 거제시
거주|이주지 부산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371-1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보성고등보통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
수학|강학지 동지사대학 - 일본 교토
외가/처가 거제 - 경상남도 거제시 고현동
외가/처가 도야마현 - 일본 도야마현 히가시토나미군
활동지 마이니치신문사 - 일본 도쿄도
활동지 동아대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지도보기
활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지도보기
묘소|단소 신불산 공원 묘원 -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동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자.

[가계]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성원(成圓). 아버지는 윤학근(尹學根)이고 어머니 옥금수(玉金守)이다. 부인은 일본인 비전부자(飛田富子)이다.

[활동 사항]

윤병기(尹炳騏)[1920~1998]는 경상남도 거제 출신이다.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현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1년 일본 동지사대학(同志社大學) 예과를 거쳐 1943년 같은 대학 법학부 정치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9월 마이니치신문사[每日新聞社]에 공채로 입사하여 기자로 활동하다가 1945년 광복 직후 귀국하였다. 20대의 윤병기는 좌익(左翼)과 우익(右翼)의 대립으로 혼란스러웠던 한국의 현대사를 지켜보면서 일본에서의 기자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언론 매체에 기고 활동을 하였다. 그 후 부산에 정착하여 1948년 3월 동아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1951년 9월 부산대학교로 옮겨 인문학부, 문리과 대학, 법정 대학, 사회 과학 대학에서 정치학을 가르쳤다.

광복 후 대학에 정치학 전공자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윤병기는 부산대학 교수 정인흥(鄭仁興)과 정치학 연구의 태두(泰斗) 역할을 하였다. 1961년 5·16 군사 정변 후 군부 세력에 의해 부산대학교 정치학과가 폐과되고, 정치학 전공자들이 서울, 경상북도 등으로 흩어졌으나 윤병기는 학교에 남아 정치학과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1969년 5월~1971년 4월 법정대학장일 때 사회사업학과를 만들어 대학에서 복지 분야를 연구하고 교육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1977년 6월~1979년 5월 2차로 법정대학장을 지내고 1986년 2월 정년 퇴임하였다. 1989년 부산정치학회 초대 회장을 지냈으며, 1998년 10월 6일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윤병기는 국가론, 정치 권력론, 여론 선전론을 중심으로 학문을 연구하여 국가의 정의, 발생, 형태, 기능, 근대 국가의 조직 원리 그리고 현대 국가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국가의 본질에 대한 연구는 정치 권력론 연구로 이어졌다. 국가와 사회의 관계, 특히 여론[신문] 문제를 통해 국가-권력-사회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핵심은 자유와 권력에 대한 논의였는데, 윤병기는 인류의 역사를 자유의 역사로 규정하고 자유의 본질을 정치 및 권력과의 관계에서 찾았다. 자유의 내용에 대해서는 ‘국가에서의 자유’, ‘국가의 보편 의지’, ‘국가에의 자유’로 규정하고, 자유에 대한 서구의 정치사상론과 철학론을 ‘자유와 권력론’으로 정리하였다. 윤병기의 정치학 연구는 한국 현대사의 질곡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의 소산이었다.

[묘소]

윤병기의 묘는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동 신불산 공원묘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70년 국민 훈장 동백장, 1976년 부산대학교 장기 근속 표창, 1980년 보국 훈장 천수장, 1982년 문화교육부 장관 표창과 교육 연공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