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507
한자 梵魚寺鍮製大鉢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22년 또는 1825년 - 범어사 유제 대발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1999년 9월 3일연표보기 - 범어사 유제 대발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범어사 유제 대발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
현 소장처 범어사 성보박물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성격 발우
양식 대부 점각으로 명문 새김
재질 놋쇠
크기 21㎝[높이]|44.5㎝[아가리 지름]|27.5㎝[밑 지름]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성보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발우.

[개설]

범어사 유제 대발(梵魚寺鍮製大鉢)은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부산 지역 유물로 절에서 공양할 때 밥통으로 사용하던 식기의 일종이다. 발우(鉢盂)는 재료나 색 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개 철발(鐵鉢)과 와발(瓦鉢)로 나눌 수 있고, 후에 목발(木鉢)·협저발(夾紵鉢) 등도 사용하였다. 1999년 9월 3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범어사 유제 대발은 구연부에 2㎝ 가량의 전이 있고, 신부(身部) 좌우 대칭되는 곳에 2개의 손잡이 고리가 달려 있으며, 3.3㎝ 높이의 대부(臺部)에는 점각(點刻)으로 명문(銘文)을 새긴 대형 발우이다. 높이와 입 지름이 약 1:2 비율을 이루고 있고, 입 지름의 2/3 정도로 넓게 자리 잡은 대부 지름의 비례로 인해 형태는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보여 주고 있다. 신부와 대부는 한 몸으로 조성되어 있고, 손잡이 고리와 몸체의 결합은 각각 내부에 삼각형을 이루는 3개소의 접합 이음새로 결구하고 있다. 또한 동체 외부를 3등분한 것처럼 신부 두 곳에 약간 도드라지게 표면 처리를 하였다.

[특징]

범어사 유제 대발은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는 형태를 띠고 있지만 불명확하게 처리된 손잡이 장식과 표면을 면밀하게 처리하지 못한 점 등이 보이고 있다. 대부에 점으로 새긴 ‘도광2(5?)년(道光二(五?)年)’이라는 명문이 있어 조선 순조 대인 1822년[도광 2] 또는 1825년[도광 5]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범어사 유제 대발은 불교 공예품 중 조성 연대를 알 수 있는 의식(儀式) 법구(法具)로서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사찰에서 행해진 발우 공양 의식의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