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성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393
한자 柳聖甲
영어음역 Yu Seonggap
이칭/별칭 희천(希天),유중환(柳重桓),성안(性眼),석계(石溪)
분야 종교/불교,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송진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승려|정치인
성별
본관 고흥(高興)
대표경력 제헌 국회 의원
출생 시기/일시 1910년 11월 11일[음력]연표보기 - 출생
출가 시기/일시 1930년 - 범어사에서 출가
수학 시기/일시 1914년 - 신남포, 신춘담, 송소암 문하에서 한학 수학
수학 시기/일시 1929년 - 송명학교 편입,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35년 - 범어사 불교전문강원 4교과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37년 - 일본 성서학원중학교 4년 편입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39년 - 일본 대정대학 예과 수료
수학 시기/일시 1943년 - 니혼대학 법문학부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43년 - 만주 퉁화현에 한인 초등학교 창설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대한독립촉성단민회 비서국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대한독립촉성청년총연맹 상임위원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동국대학 교수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48년 - 제헌 국회 의원에 당선
몰년 시기/일시 1950년 9월 28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9년 12월 17일연표보기 - 국민 훈장 무궁화장 추서
추모 시기/일시 1978년 5월 5일 - ‘석계 유성갑 선생 기념비’ 건립
출생지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대룡리 오리 마을
학교|수학지 송명학교 - 전라남도 벌교군
학교|수학지 범어사 불교전문강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46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성서학원중학교 - 일본 동경
학교|수학지 대정대학 - 일본
학교|수학지 니혼대학 - 일본
활동지 동국대학 - 서울특별시
활동지 대한도립촉성청년총연맹 - 서울특별시
묘소 전라남도 고흥군 과녁면 과역리 산128-2
기념물 ‘석계 유성갑 선생 기념비’ -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333-4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범어사에서 출가한 승려이자 제헌 국회 의원을 지낸 정치인.

[가계]

본관은 고흥(高興). 자는 희천(希天), 속명은 유성갑(柳聖甲), 호적 이름은 유중환(柳重桓). 법명은 성안(性眼), 법호는 석계(石溪). 1910년 음력 11월 11일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대룡리 오리 마을에서 아버지 유화권(柳花權), 어머니 고령 신씨(高靈申氏) 사이에서 큰아들로 태어났다.

증조 할아버지는 덕천공(德泉公) 유호석(柳浩錫)이며 증조할머니는 여산 송씨로 슬하에 6남 1녀를 두었는데, 큰아들은 유영도(柳永道), 둘째 아들은 유영빈(柳永彬), 셋째 아들은 유영태(柳永台), 넷째 아들은 유영칠(柳永七), 다섯째 아들은 유영준(柳永準), 여섯째 아들은 유영희(柳永憘)이다.

할아버지는 유영준으로, 오리 마을로 분가해 와서 300백 석지기 부자가 되었다. 유영준은 아내 여산 송씨와의 사이에 3남[유성근·유화권·유기근] 3녀를 두었다. 큰아들 유성근(柳誠根)은 자가 치명(致明), 호는 월담(月潭)으로 호남 제일의 성리학자인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하생이었다. 아들이 없어 동생 유화권의 큰아들인 유성갑을 양자로 맞고, 둘째 부인과의 사이에 4남 1녀를 두었다. 유영준이 1916년 4월 8일 사망하면서 3형제에게 “어려운 사람들의 채권 문서를 소각하라.”고 유언하여 이에 따르자, 채무자[주로 점암면과 과녁면 주민]들이 고마운 뜻으로 ‘고 학생 유공 영준 선덕 불망비(故學生柳公永準善德不忘碑)’를 세웠다. 지금 유영준의 묘 부근 도로 변에 있다.

유성갑의 친아버지 유화권의 자는 선경(善卿), 호는 유헌(柳軒)이다. 저서로 충효 열전인 『영주 문헌 보감(瀛州文獻寶鑑)』과 시집인 『영주 시해(瀛州詩海)』를 출간하였다. 유성갑과 유중원을 낳은 후 여러 해 지나서 점암면에서 동강면으로 이사하고 그곳에서 막내 유중기(柳重基)를 낳았다. 1922년 유성갑의 친어머니가 사망하고, 아버지가 다시 결혼하여 2남 1녀를 낳았다. 유성갑은 18세에 여산 송씨와 결혼하여 2남 1녀를 낳았으나 큰아들은 일찍 죽고, 유대진(柳大鎭)과 연년생인 유외기(柳畏己)가 있다.

[활동 사항]

유성갑은 1914~1929년에 신남포, 신춘담[외숙], 송소암의 문하에서 한학을 수학하고, 1929년 전라남도 벌교에 있던 송명학교에 편입하여 이 해에 졸업을 하였다. 1930년에 출가하여 동래 범어사 승려 동산을 은사로 하고 승려 일봉(一鳳)을 계사로 사미계를 받고, 승려 동산으로부터 성안이라는 법명과 석계라는 법호를 받았다.

1935년 범어사 불교전문강원에서 4교과를 졸업한 유성갑은 1937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 성서학원중학교에 편입하여 졸업하였다. 1939년 대정대학 예과를 수료하고, 1939년 니혼대학 법문학부에 입학 후, 안중근(安重根) 의사의 사진 및 「독립 선언문」을 은닉한 죄로 6개월간 감옥 생활을 하였다. 1943년 니혼대학 법문학부를 졸업하고, 그 해 만주 퉁화현 칠도구로 가서 한인 초등학교를 창설하였다.

1945년 유성갑은 반탁총동원위원회 기획 비서, 대한독립촉성단민회 결성준비위원이 결성된 후 비서국장이 되었다. 1946년 대한독립촉성청년총연맹 준비위원이 되고, 대한독립촉성청년총연맹 결성 후 상임위원 겸 연맹 중앙훈련대장을 맡았다. 1945~1947년 국민회 청년단 감찰위원장 겸 중앙검찰대장, 동국대학 및 국화여전 교수, 1948년 전라남도 고흥군 을구 지역구에서 제헌 국회 의원을 지내고, 헌법 기초 위원과 법제 사법위원, 3·1 구락부 상임간사, 무소속 구락부 상임간사, 이정회 상임간사, 대한노동당 원내부위원장, 대한국민당 간사,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감찰위원장을 지냈다. 6·25 전쟁 중인 1950년 9월 28일 북한군에 잡혀서 광주형무소에 수감 중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붕해요(鵬海療)의 송(頌)」이 1937년에 나온 『역행(力行)의 광(光)』에 수록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1969년 12월 17일 국민 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1978년 5월 5일 사단법인 고흥군문화진흥회가 학림 어린이 놀이터에 ‘석계 유성갑 선생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