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강용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301
한자 康龍權
영어음역 Gang Yonggwon
분야 생활·민속/민속,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엄경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자|민속학자
성별
본관 신천
대표관직|경력 동아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교수
출생 시기/일시 1926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59년 - 동아대학교 교수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수영 야류」 발굴
활동 시기/일시 1971년 - 사천 「가산 오광대」 발굴
활동 시기/일시 1972년 - 「밀양 백중놀이」 발굴
활동 시기/일시 1974년 - 부산시 향토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사천 매향비 발굴
활동 시기/일시 1983년 - 서울신문사 향토 문화 본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제30회 부산시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2년 - 삼천포 매향 암각 발굴
몰년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평양 - 평안남도 평양
거주|이주지 부산 - 부산광역시지도보기
활동지 동아대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지도보기
묘소|단소 김해 공원 묘원 -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산 276-1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자 겸 민속학자.

[활동 사항]

강용권(康龍權)[1926~2004]은 평양 출신으로, 본관은 신천(信川)이다. 중학교 4학년[고등학교 1학년] 때 아버지를 여의고, 6·25 전쟁 때 어머니와 헤어져 월남하였다. 1959년 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된 이후 40여 년 동안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민속학 연구에 매진하였다. 1960년 부산의 첫 무형 문화재인 「수영 야류(水營野流)」 발굴을 시작으로, 1971년 경상남도 사천의 「가산 오광대」, 1972년 「밀양 백중놀이」 등을 발굴하는 등 경상남도 민속 문화 발굴사에서 강용권의 이름은 빠지지 않는다. 1977년 경상남도 사천군 곤양면 흥사리에서 사천 매향비(泗川埋香碑)를 발굴하여 보물 제614호로 지정하도록 하였다. 매향비란 내세에 미륵불의 세계에서 태어나기를 기원하면서 향을 묻고 세우는 비를 말한다. 1992년에는 삼천포 매향 암각(三千浦埋香巖刻)을 발굴하여 그 가치를 세상에 부각시켰다. 경상남도 및 부산시 문화재전문위원, 문화공보부 문화재전문위원 등을 지내고, 2004년 세상을 떠났다.

[학문과 저술]

강용석은 『판소리 창본의 연구』, 『야류, 오광대』, 『한국 민속 문화 연구』, 『한국 민속극』, 『향토의 민속 문화』 등 12권의 저서와 「한국 인형극 소고」, 「창극 연구」, 「한국 가면극본의 고찰」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여 우리나라 민속학 연구의 토대를 다졌다.

[묘소]

강용권의 묘는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 산 276-1번지 김해 공원묘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74년 부산 향토 문화상, 1983년 서울신문사 제정 향토 문화 본상, 1987년 제30회 부산시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