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최상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299
한자 崔常壽
영어음역 Chea Sangsu
분야 생활·민속/민속,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국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학자
성별
대표관직|경력 경희대학교 교수
출생 시기/일시 1919년 1월 31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6년 - 전설학회 창립, 『한국 민간 전설집』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48년 - 『조선 민요 집성』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52년 - 『경주의 고적과 전설』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 한국민속학회 초대 회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58년 - 한월협회 부회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한국민속학연구소 소장
활동 시기/일시 1961년 - 미국아세아민속학회 이사에 임명, 문화재 전문 위원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67년 - 『해서 가면극의 연구』 발간, 킴칸 문화 훈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1년 - 한국·사우디아라비아협회 부회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2년 - 한국문화재보호협회 이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74년 - 『한국의 씨름과 그네의 연구』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84년 - 수필집 『달라져 가는 세상』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86년 - 5·16 민족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8년 - 『한국 민속 문화의 연구』 발간
활동 시기/일시 1989년 - 3·1 문화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1995년 6월 9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학|강학지 동래제일공립보통학교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72지도보기
수학|강학지 오사카외국어학교 - 일본 오사카부
활동지 경기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2가 71
활동지 이화여자대학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 11-1
활동지 한성대학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3가 389
활동지 경희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1

[정의]

부산 출신의 민속학자.

[활동 사항]

최상수(崔常壽)[1919~1995]는 부산 동래 출신으로, 동래제일공립보통학교[현 부산내성초등학교]를 다닐 때 교사 김용우의 영향으로 우리 민속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37년 일본 오사카외국어학교[大阪外國語學校]를 졸업하였는데, 전공은 영어, 부전공은 아시아 역사였다. 귀국 후 대학에서 국문학을 강의하면서 본격적으로 민속학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 민속학이 자리 잡기 시작한 1940년대부터는 현장에서의 민속 자료 수집과 연구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였다. 1946년 광복 후 국내 최초의 민속 연구 단체인 전설학회[1955년 한국민속학회로 바꿈]를 만들어 회장을 지냈다.

최상수는 50년간 2,000여 곳을 답사하였으며,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 지역도 여러 차례 방문하여 민속극, 설화, 민속놀이, 민요, 아시아 비교 민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성과를 올렸다. 1960~1979년 한국민속학연구소 소장, 1958~1979년 한월협회(韓越協會) 부회장 및 회장, 1961년~1971년 미국아세아민속학회 이사, 1961~1977년 문화공보부[현 문화관광부] 문화재전문위원과 문화재위원, 1971~1979년 한국·사우디아라비아협회 부회장, 1972~1979년 한국문화재보호협회 이사를 지냈다. 또한 경기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단국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성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경희대학교 등에서 강사와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학문과 저술]

최상수는 아시아 민속사 분야의 개척자로서 민속극, 설화, 민속놀이, 민요, 비교 민속 등을 연구하여 30여 권의 저서를 남겼다. 자료집으로 『한국 민간 전설집』[1946], 『조선 지명 전설집』[1947], 『조선 민요 집성』[1948], 『조선 구비 전설지』[1949], 『조선 수수께끼 사전』[1949], 『경주의 고적과 전설』[1952], 『부여의 고적과 전설』[1954], 『한국 민간 전설집(증보)』[1958], 『한국의 수수께끼』[1973], 『한국 전래 어린이 놀이』[1989]가 있다. 연구서로는 『한국 지연(紙鳶)의 연구』[1958], 『하회 가면극의 연구』[1959], 『한국의 세시 풍속』[1960], 『한국 인형극의 연구』[1961], 『한국과 월남과의 관계』[1966], 『해서 가면극의 연구』[1967], 『한국과 아라비아와의 관계』[1971], 『한국 부채의 연구』[1972], 『한국의 씨름과 그네의 연구』[1974], 『야류·오광대 가면극의 연구』[1984], 『한국 가면의 연구』[1984], 『한국 민속놀이의 연구』[1985], 『산대·성황신제 가면극의 연구』[1985], 『한국 민속 문화의 연구』[1988] 등이 있다. 수필집 『달라져 가는 세상』[1984], 『고향으로 가는 길』[1987]도 발간하였다.

[상훈과 추모]

한국과 베트남 관련 연구로 1967년 베트남 정부로부터 킴칸[金冠] 문화 훈장을 받았다. 1986년 5·16 민족상과 1989년 3·1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