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932
한자 金楨根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Gim Jeonggeun
이칭/별칭 첨사 김공정근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훈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김정근(金楨根)
크기 120㎝[높이]|38㎝[너비]|30㎝[두께]
관리자 부산광역시 사하구청
현 소재지 윤공단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조선 후기 다대포 첨사 김정근(金楨根)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김정근이 다대포 첨사로 근무하면서 진영과 목장을 정비하고 관청 건물을 수리하는 등 관방을 정비하여 주민을 안정시킨 공로를 기려 세웠다.

[위치]

김정근 영세불망비(金楨根永世不忘碑)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24번지 윤공단(尹公壇)을 들어서면 나타나는 계단 바로 오른쪽 편에 위치한 비석군에 있다.

[형태]

대좌(臺座)는 없고 평수이다. 비석 앞면의 왼쪽 부분이 세로 방향으로 1/2 정도 파손되었다. 지붕돌이 없이 비신(碑身)의 윗부분을 둥글게 다듬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20㎝, 너비 38㎝, 두께 30㎝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첨사 김공정근 영세불망비(僉使金公楨根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진영과 목장을 다시금 합하여/ 마흔 곳 관청 건물 수리하였네/ 신중히 동래 방비 새롭게 단장하니/ 군사와 주민들 칭송하며 축하하네[僉使金公禎根永世不忘碑 鎭牧合復 繕四十廨 敬新萊戌 軍民頌祝]”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병술년 중추 군교와 향리와 군민들이 세우다. 병교 한우수, 이방 이선홍[丙戌中秋校吏軍民等立 兵校 韓佑壽 吏房 李璇弘]”이라 되어 있다.

[현황]

부산광역시 사하구 일대에 흩어져 있던 공덕비를 현재의 윤공단으로 옮겨 조성한 공덕비군에 보존되어 있다. 부산광역시 사하구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김정근은 강계부 관찰사에 부임한 1895년 이전 다대포 첨사를 역임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다대포영의 목장과 방비 활동을 통해 부산 지역의 관방 실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