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856
한자 石造如來坐像
영어의미역 Seated Stone Buddha Statu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104[남산동 385]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92년 9월연표보기 - 석조여래좌상 금어 혜규가 제작
이전 시기/일시 1993년 5월 13일 - 범어사의 말사 법륜사에서 금정중학교로 이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5월 24일연표보기 - 석조여래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석조여래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
현 소장처 금정중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2104[남산동 385]지도보기
원소재지 범어사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성격 불상|석불|여래 좌상
재질 화강암
크기 48㎝
소유자 금정중학교
관리자 금정중학교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 금정중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개항기의 불상.

[개설]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은 1892년(고종 29) 9월에 조성된 후 범어사 안심료(梵魚寺安心寮)에 봉안되었던 불상이다. 이후 범어사(梵魚寺) 말사인 법륜사로 옮겨졌으며, 범어사에서 금정중학교를 설립하고 법당을 개원할 당시 학교법인 금정학원 이사장을 맡은 승려 선래[현 법륜사 회주]가 금정중학교로 이운하였다. 1993년 5월 13일에 이운 법회를 봉행한 이후 지금까지 석조여래좌상은 청소년 불자들을 위한 예경 공간을 상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불상 바닥 면에는 붉은색의 글씨로 쓴 다라니와 함께 뒤집힌 채 붙어 있는 원문(願文)이 있는데, 광서(光緖) 18년[1892] 임진(壬辰) 9월에 금어(金魚) 혜규(海珪)가 불상을 조성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석조여래좌상은 2010년 5월 24일에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금정중학교 학내 법당인 반야원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전체 크기가 48㎝인 소형 석불이다. 머리 부분과 불상 바닥을 제외한 전면에 개금이 되어 있으며, 파손된 곳이 거의 없는 등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머리가 신체에 비해 다소 큰 모습이며, 목이 짧고, 등을 곧추 세운 후 고개를 앞으로 약간 숙인 모습이다. 육계와 머리가 뚜렷하게 구분되지는 않으며, 중앙에 중앙 계주(中央髻珠)를 표현하였고 육계 위에는 정상 계주(頂上髻珠)를 표현하여 조선 후기의 일반적인 불상 머리 형태를 따르고 있다. 눈은 반쯤 뜨고 있으나 비교적 또렷하며, 콧날은 오뚝하다.

수인(手印)은 두 손을 양 무릎 위에 놓고 모두 땅을 향하여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 통견[양 어깨를 모두 덮은 가사]의 옷차림을 하고 있는데, 내의인 승각기(僧脚崎)는 표현하지 않았고 하의인 군의(裙衣)는 배 부분에서 평행 띠로 묶어 처리하였다. 불상 아랫부분에는 복장공(腹藏孔)이 마련되어 있으나 봉해져 있어 그 형태나 복장물(腹藏物) 등에 대해서는 자세히 확인할 수 없다.

[특징]

석조여래좌상은 수평적으로 반쯤 뜬 눈, 콧날이 곧고 바른 코, 입꼬리를 살짝 올려 미소를 머금은 입, 이마에서 어깨에 닿을 정도로 큼직한 귀 등이 표현되어 조선 후기 불상에서 보여 주던 근엄함이 다소 풀어진 원만한 상호(相好)를 지니고 있다. 양감이 없이 밋밋하게 처리한 신체의 표현이라든지, 내의를 입지 않고 배 부분에서 평행 띠로 묶은 군의를 입은 옷차림, 짧은 목과 좁은 어깨의 표현 등에서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상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석조여래좌상은 소형이지만 돌로 제작된 조선 후기의 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상 조성의 절대 연대를 가지고 있고 제작자 및 최초 봉안된 장소 등을 알 수 있어, 19세기 말 부산 지역 석조 불상 양식과 제작에 관한 사항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