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845
한자 梵魚寺靑銅銀入絲香盌
영어의미역 Bronze Incense Burner carved with Sunchi 8th
이칭/별칭 순치 8년 청동 은입사 향완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지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651년연표보기 - 범어사청동은입사향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1999년 9월 3일연표보기 - 범어사청동은입사향완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범어사청동은입사향완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
현 소장처 범어사 성보박물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지도보기
원소재지 적천사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리 981
성격 향완
재질 청동
크기 28.2㎝[높이]|27.4㎝[입 지름]|18.5㎝[바닥 지름]
소유자 범어사
관리자 범어사 성보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향완.

[개설]

향완(香垸)은 절에서 사용하는 불교 의식구(佛敎儀式具) 중 하나로 향을 피우기 위한 향로(香爐)의 일종이다. 법당에 안치하여 예불 및 공양을 올릴 때 사용하는데, ‘향완’이라는 명칭은 현재 남아 있는 작품들의 명문(銘文)을 통해 알 수 있다. 고려 시대에 많이 제작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도 향완 제작의 전통과 형식은 꾸준히 이어진다. 범어사청동은입사향완(梵魚寺靑銅銀入絲香盌)은 고려 시대의 고배형(高杯形) 향완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1999년 9월 3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크기는 높이가 28.2㎝, 입 지름이 27.4㎝, 바닥 지름이 18.5㎝이다. 발(鉢)[승려의 밥그릇] 모양의 몸체[爐身]에 구연부(口緣部)[입 부분]에는 넓은 테인 전이 달려 있다. 몸체 아래로 나팔형의 굽 받침이 있는데, 윗부분은 좁고 넓은 아랫부분은 한 단의 턱을 이루고 있다. 몸체와 굽 받침을 별도로 만들어 결합하였으며, 결합 시 맞닿는 부위에 각기 구멍을 뚫어 못을 관통시켜 고정하였다.

끝을 둥글게 처리한 전에는 은으로 당초무늬[唐草紋]을 입사(入絲)하였는데 그 모양이 매우 간략하다. 몸체 역시 은입사를 하였는데 몸체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에 곡선을 둘렀으며, 몸체 중간부에는 8개의 원을 구획하였다. 8개의 원권(圓圈)은 이중으로 선을 그렸는데 안쪽에는 범자(梵字)를, 바깥쪽에는 톱니무늬[鋸齒文]와 ‘X’ 자형 무늬를 새겼다. 나팔형인 굽 받침의 경우, 윗부분에는 두 줄의 가로선을 돌리고 그 사이에 약화된 당초문을 곡선처럼 표현하였다. 한 단의 턱을 이룬 아랫부분에는 턱의 측면과 턱 바로 윗면[上面]에 은입사로 마흔 네 글자 정도의 명문과 연꽃무늬[蓮花紋]를 은입사 하였다.

[특징]

범어사청동은입사향완은 형식상에서는 고려 시대 성행하던 향완을 계승하고 있다. 하지만 향완 전체에 장식된 문양의 간략화 및 형식화에서 조선 후기의 양식을 엿볼 수 있으며, 톱니무늬와 ‘X’ 자형 무늬를 통해서는 범어사청동은입사향완만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더불어 굽 받침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제작 연대 및 제작처, 발원자, 시주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굽 받침 턱의 측면에 ‘순치 팔년 신묘 오월 경상도 청도 화악산 적천사 향□정 비구(順治八年辛卯五月慶尙道淸道花岳山磧川寺香□淨比丘)’라는 명문이 새겨 있는데, 이를 통하여 1651년(효종 2) 5월 경상북도 청도 화악산 적천사의 향□정 비구의 발원(發源)에 의해 향완이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턱 상면의 시주(施主) ‘건명□주□주□□금□주 자□왕□의□양(乾命□主□主□□金□主 子□王□義□兩)’이라는 명문은 범어사청동은입사향완을 만들 때 시주한 이들의 명단이다.

[의의와 평가]

범어사청동은입사향완은 정확한 제작 시기와 장소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