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808
한자 鄭相九
영어음역 Jeong Sanggu
이칭/별칭 설송(雪松),다촌(茶村)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인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553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순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인|정치인|교육가
성별
대표경력 국회의원|부산문학평론가협회 회장|혜화학원 이사장
출생 시기/일시 1925년 4월 28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39년 - 전검[전문학교 자격시험] 합격
수학 시기/일시 1946년 6월 - 마산고등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51년 8월 - 부산대학교 예과 정치과 수료
수학 시기/일시 1970년 2월 - 고려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 학위
수학 시기/일시 1974년 2월 - 중앙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수학 시기/일시 1977년 4월 - 도쿄대학교 대학원 정치 연구 과정 3년, 교육 연구 과정 2년 수료
수학 시기/일시 1984년 5월 - 미국 프렌즈 대학 명예 문학 박사
활동 시기/일시 1951년 9월~1952년 2월 - 경남상업고등학교 교사
활동 시기/일시 195년 9월~1953년 12월 - 건국대학교, 홍익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강사
활동 시기/일시 1953년 1월~1955년 4월 - 대산고등학교 교장
활동 시기/일시 1954년 12월 - 혜화학원 설립, 이사로 재임
활동 시기/일시 1955년 4월~1960년 12월 - 혜화여자중·고등학교 교장
활동 시기/일시 1957년 9월~1959년 10월 -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부산지부장, 부산문학평론가협회 회장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58년 - 문예지 『신조 문학』, 『문학』 편집 및 주간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0년 7월~1961년 5월 - 초대 참의원 원내 수석 부총무
활동 시기/일시 1967년 1월~2005년 3월 - 혜화학원 이사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67년 7월~1971년 6월 - 제7대 국회 의원, 신민당 정치 훈련원 원장
활동 시기/일시 1977년 2월~1980년 2월 - 민주통일당 부총재
활동 시기/일시 1980년 12월~1985년 7월 - 국제민간외교협회 부총재, 한국서도협회 회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81년 7~2005년 3월 - 한국다도협회를 설립, 이사장에 취임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한국현대시인협회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3~1984년 - 제6~8회 국가 작가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5년 4월~1988년 5월 - 제12대 국회 의원
활동 시기/일시 1988년 5월~1992년 5월 - 제13대 국회 의원
활동 시기/일시 1991년 - 한국 미술 문화 대상전 작가 대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6년 5월~2000년 5월 - 제15대 국회 의원
활동 시기/일시 1997년 - 아시아 미술 대전 초대 작가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7년 7월연표보기 - 다촌 다문화상 제정
활동 시기/일시 1998년 - 문학 대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9년 10월연표보기 - 설송 문학상 제정
몰년 시기/일시 2005년 3월 24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정상구 출생지 - 경상남도 창원시 동면 화양리 360
학교|수학지 마산고등학교 - 경상남도 마산시
학교|수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30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도쿄대학교 - 일본 도쿄
활동지 경남상업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 3가 521지도보기
활동지 대산고등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활동지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부산지부 - 부산광역시
활동지 부산문학평론가협회 - 부산광역시
활동지 혜화학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지도보기
활동지 국회 - 서울특별시
묘소 정상구 묘소 -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신방리

[정의]

[정의]

광복 이후 부산에서 활동한 문학인이자, 교육가이며 정치인.

[활동 사항]

호는 설송(雪松), 다촌(茶村). 1925년 4월 28일 경상남도 창원시 동면 화양리 360번지에서 태어났다. 1939년 독학으로 전검(專檢)[전문학교 자격시험]에 합격하였고, 1946년 6월 마산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51년 8월 부산대학교 예과 정치학과를 수료하였고, 1970년 2월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과정을 수료한 뒤 교육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 2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77년 4월 도쿄대학교 대학원 정치 연구 과정 3년과 교육 연구 과정 2년을 수료하였다. 부산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1947년 정상구염주용이 발간한 『문예 신문(文藝新聞)』에 시 「아침 바다」를 발표하면서 문학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런 인연 덕분에 문예신문사에서 정치 평론집 『인간(人間)에 돌아가라』와 『창조 생활(創造生活)의 길』을 내기도 하였다.

6·25 전쟁 시기에는 『도덕』, 『신생 공론』 등의 여러 매체에 혼탁한 정치 현실에 대한 분노를 예각화한 시와 비평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시기에 첫 시집 『유형지(流刑地)의 비가(悲歌)』를 발간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문학적 열정으로 충만한 삶을 살았던 것 같다.

이처럼 정상구는 광복기에 문학의 길로 들어선 이후 1950년대 후반까지 시와 소설, 비평 작업에 몰두하였다. 비록 제도 문단을 통해 화려하게 문단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민주 신보』·『영문(嶺文)』·『신조 문학(新潮文學)』 등 지역 매체를 통해 꾸준하게 창작과 비평 활동을 전개하였다. 1950년대 후반 들어 『민주 신보』에 「미혼모(未婚母)」를 연재하는가 하면, 1959년 10월에는 장편 소설집 『진공(眞空)의 계절(季節)』[제1권]을 출간하기도 하였다.

특히 1958년 당시 부산 지역의 문학지로는 유일하게 『신조 문학』을 2호까지 발간한 것은 부산 지역 문학사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환도 이후 문학 제도가 서울로 옮겨간 상황에서 이렇다 할 문학 매체를 지니지 못하였던 것이 1950년대 후반 부산 지역 문학의 현실이었다. 그런 점에서 자신이 편집과 발행을 맡아 펴낸 『신조 문학』은 지역적 연대가 옅어지고 뚜렷한 문학 조직체가 없던 상황에서 지역 문학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뒤이어 1959년 월간지 『문학(文學)』을 서울에서 제3호까지 발행한 일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발간을 통해 지역 문인들에게 발표 지면을 제공하고, 지역 간 수평적·수직적 연대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정상구는 1957년 9월부터 1959년 10월까지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부산지부장과 부산문학평론가협회 회장을 지냈고, 1958년 문예지 『신조 문학』과 『문학』의 편집 및 주간을 지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부산 지역뿐만 아니라 서울에서 자신의 문학적 입지를 뚜렷하게 다져 나갔던 것이다.

문학 활동과 함께 정상구는 1951년 9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경남상업고등학교에 교사로 재직하면서 동시에 1953년 12월까지 건국대학교와 홍익대학교 및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강의를 하였다. 1953년 1월부터 1955년 4월까지 창원의 대산고등학교 교장을 지냈고, 1954년 12월 부산에서 학교법인 혜화 학원을 설립하여 이사로 취임하여 교육 사업가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55년 4월부터 1960년 12월까지, 1964년부터 1967년까지 혜화여자고등학교 교장을 지내고, 교장에서 물러난 두 차례 모두 부인인 정남이에게 교장직을 승계하였다. 1967년부터 2005년 3월까지는 혜화 학원 이사장을 지냈다.

한편으로 정상구는 4·19 혁명이 일어나자 정계에 입문하였다. 1960년 7·29 총선에 혁신 정당인 혁신동지총연맹 소속으로 초대 참의원에 당선되어, 1961년 5월까지 원내 수석 부총무를 지냈다. 1967년 7월 신민당 소속으로 제7대 국회 의원이 되어 1971년 6월까지 신민당 정치훈련원 원장을 지냈고, 1977년 2월부터 1980년 2월까지 민주통일당 부총재를 지냈다. 1985년 4월부터 1988년 5월까지 민주한국당[민한당] 소속 비례 대표로 제12대 국회 의원, 1988년 5월 통일민주당 소속으로 1992년 5월까지 제13대 국회 의원, 1996년 5월 자유민주연합[자민련] 소속의 비례 대표로 제15대 국회 의원을 지냈다.

5선 의원을 지내는 동안 한일의원연맹 부회장, 한국·인도네시아 국회친선협회 회장, 한국·뉴질랜드 국회친선협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정치 활동을 시작한 이래 정상구는 문학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었지만, 활발한 저술 활동을 펼치면서 폭넓은 문학적 행보를 이어갔다. 의정 활동을 펼치면서도 10여 권의 시집을 발간한 일은 치열한 문학적 열정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정상구는 다채로운 이력을 지닌 문인이다. 교육자이자 정치인이며, 한국 전통 차 문화 부흥 운동을 이끈 사람이기도 하다. 이에 1980년 12월부터 1985년 7월까지 국제민간외교협회 부총재와 한국서도협회 회장을 지냈고, 1981년 7월 한국다도협회를 설립하여 2005년 3월까지 이사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1997년 7월 다촌 다문화 상과 1999년 10월 설송 문학상을 제정하는 등 문학·교육·언론·정치·서예·다도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고단한 삶을 살았지만, 특히 문학적 출발로 삼았던 시는 죽음을 앞둔 순간까지 문학적 생애를 지배한 갈래였다. 혼수상태를 오가면서도 병상에서 12번째이자 마지막 시집을 구술로 마무리하였다. 2005년 3월 24일 향년 81세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정상구는 12권의 시집 외에 소설집·수필집·문학론 등을 출간하였으며, 『정치 기담(政治奇談)』[삼일신문사 출판부, 1952], 『다도학(茶道學)』[시문학사, 1983] 등 정치와 다도 관련 저서도 20여 권이나 간행하였다. 문학 관련 서적을 들면 다음과 같다.

『잃어버린 영가(靈歌)』[문예비평사, 1979], 『불타는 영가』[시문학사, 1980], 『화정무한(花情無限)』[국제신문 출판국, 1981], 『새벽의 영가』[시문학사, 1982], 『겨울 속의 영가』[시문학사, 1984], 『풍경이 부르는 손짓』[시문학사, 1987], 『역사의 강변에서』[내외신서, 1990], 『현해탄(玄海灘) 영가』[내외신서, 1991], 『하늘 길』[시문학사, 1996], 『공룡무 공화국(恐龍舞共和國』[남촌, 1997], 『조국의 통곡』[문학21, 1999], 『하늘 불꽃』[세종출판사, 2005], 『진공(眞空)의 계절』[세기문화사, 1959], 『우리나라 현대 문학 주조사(現代文學主潮史)』[부산: 협동문화사, 1953], 『설송 정상구 문학 전집』 1~5[세종문화사, 2006] 등이 있다.

[묘소]

묘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신방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82년 서사 시집 『새벽의 영가』로 한국현대시인협회상, 1983~1984년 일본 서전 제6~8회 국가 작가상 국제 특상, 1991년 한국 미술 문화 대상전 작가 대상[서예부] 국회의장상, 1997년 도쿄 아시아 미술 대전[서예부] 초대 작가상, 1998년 서사 시집 『공룡무 공화국』으로 문학21사에서 문학 대상 등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