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568 |
---|---|
한자 | 德川三洞堂山祭 |
영어의미역 |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Deokcheon3-dong Deoksanmaeul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의성로127번길 108[덕천3동 811-1] |
집필자 | 정혜란 |
[정의]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3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덕천3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 오전 8시와 10시를 기하여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3동 청우 파크 아파트 뒤쪽에 있는 남산정 당산에서 1년에 2회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덕천3동 당산제가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옛날 이 마을에 살던 고기 장사 할매가 고기를 팔아 번 돈으로 소나무를 심고 당산 신을 모셨던 것이 시초라고 한다. 원래 있던 500년 된 미루나무는 1959년 태풍 사라호 때 쓰러져서 다시 은행나무를 3그루 심었다고 한다. 지금의 제당은 1966년에 건립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제당의 대지는 35.6㎡[10.8평, 앞면 5.4m, 옆면 6.6m]이고 면적은 8.6㎡[2.6평, 앞면 330㎝, 옆면 260㎝]이며, 북쪽을 향해 있다. 슬래브 지붕에 블록을 쌓아 시멘트로 마감했으며, 문은 여닫이 두 짝으로 된 철제문이다. 제단[앞면 219㎝, 옆면 60㎝, 높이 67㎝]은 시멘트로 되어 있으며 비닐로 덮어 놓았고, 제단 위에는 왼쪽으로부터 산신[지름 18㎝, 높이 26㎝], 당산 할배[지름 20㎝, 높이 29㎝], 당산 할매[지름 18㎝, 높이 26㎝], 용왕[지름 20㎝, 높이 25㎝]의 순서로 자연석이 세워져 있다. 제당 주위에는 높이 134㎝의 블록 담이 둘러 있으며, 앞쪽에 쇠창살문이 달려 있다. 사방에 소나무 16그루가 서 있다.
[절차]
예전에는 당산을 관리하는 사람이 대를 잡아 집집이 도는데, 이때 제를 지낼 집으로 대가 들어간다고 한다. 그러면 그 집주인이 대 앞에 정화수를 떠 놓고 맞이하고 제관이 되었다고 한다. 10년 전부터는 주민자치위원장이 제관이 되었다. 제관에 대한 보수는 없다. 옛날에는 음력 정월 10일부터 15일까지 금기를 지켰으나, 지금은 길흉사에 가는 것만 조심하고 그 외 특별히 금기를 지키고 있지는 않다.
제물의 종류와 진설 및 제의 절차는 일반 가정의 기제사와 같다. 오전 8시를 기하여 과일 몇 가지와 나물 몇 가지만을 간단하게 차려서 당산 나무 아래에서 산신제, 당산 할매, 당산 할배, 용왕제를 합사해서 올린다. 마을에서 글을 잘 쓰는 사람이 써서 제사를 지낼 때 읽지만 제의가 끝난 후 소각 여부는 알 수 없다. 그 후 거릿대제를 올린다. 제의가 끝난 뒤에 나이 많은 어른들이 음복을 한다.
[부대 행사]
덕천3동 당산제를 마친 후에 덕천3동 단체협의회에서 주최하는 윷놀이 대회를 한다.
[현황]
현재 덕천3동 당산제의 경비는 덕천3동 단체협의회에서 지원하고 있다. 본래 만덕로에서 거릿대제를 지냈었는데 현재는 장소가 협소하여 덕천3동 주민자치센터 2층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