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남부민동 당산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482
한자 南富民洞堂山祭
영어의미역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Nambumin-dong
이칭/별칭 남산 고당 할매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 611
집필자 정혜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동제
의례시기/일시 음력 1월 15일
신당/신체 제당|제단|할매도
의례 장소 남산 고당 할매 당산 -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 61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남부민동 당산제는 음력 정월 15일 오전 10시에 부산광역시 서구 남부민2동 611번지에 있는 남산 고당 할매 당산에서 1년에 한 번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공동의 제사이다. 이를 ‘남산 고당 할매제’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남부민동 당산제가 언제부터 행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제당은 일제 강점기부터 있었다고 한다. 마을 주민의 말에 따르면 예전에 남산에 있는 고당 할매 당산나무를 자르려다가 마을의 유지 두 사람이 죽음을 당했으며, 나무에서 피가 난 적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연유로 당산나무를 신성시하여 매년 모시고 제사를 지내 오고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제당의 대지는 15.2㎡[4.6평, 앞면 2.94m, 옆면 5.16m]이고, 면적은 4.6㎡[1.4평, 앞면과 옆면이 215㎝인 정사각형]이며, 북쪽을 향해 있다. 시멘트 우진각 지붕에 벽은 벽돌로 되어 있으며, 문은 여닫이 두 짝 알루미늄 새시 문이다. 제단은 나무판자[앞면 180㎝, 옆면 45㎝, 높이 72㎝]로 되어 있으며, 위패는 없고 용을 대동한 ‘할매도’[가로 88㎝, 세로 84㎝]가 걸려 있는데, 할매도의 왼쪽 아래에 ‘봉안일 임자 11월 27일(奉安日壬子11月27日)’이라 기록되어 있다. 왼쪽 벽에 분홍색 인조 한복 한 벌, 흰색 인조 한복 한 벌, 색동 동자복 한 벌과 흰 버선 두 켤레가 걸려 있다. 남부민동 남산의 경사진 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주위에는 높이 155㎝의 블록 담장이 둘러 있다.

[절차]

제관은 제주라 불리며, 한 명이 고정적으로 맡아서 한다. 제관은 제의 3일 전부터 제의 뒤 한 달 간 금기를 지켜 출산, 혼사, 초상 등이 행해지는 곳에는 출입하지 않고, 부부간의 잠자리도 피한다. 그리고 제물을 구입할 때도 상인과의 대화를 꺼려 흥정하지 않고 값을 부르는 대로 지불한다. 제물의 종류와 진설 및 제의 절차는 일반 가정의 기제사와 같았으나 최근에는 제관 개인이 촛불과 밥, 술 한 잔 정도로 아주 약소하게 올려 제의를 지내고 있다. 축문은 읊지 않고 개인별로 이령수[신에게 말로 읊조리면서 소원을 비는 행위]를 한다. ‘고당 할매제’만 단독으로 지내며, 음복은 별도로 하지 않는다.

[현황]

2011년 현재 남부민동 당산제는 ‘양 여사’라는 신기가 있는 여자 혼자 맡아서 주관하고 있다. 제의 절차 역시 간소화되었다. 당산제의 개념은 다소 약화되었으며, 기도를 올리는 장소로 인식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의 당제』(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5)
  • 『부산의 자연 마을』1-중구·서구·동구·영도구·부산진구·남구(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06)
  • 인터뷰(서구 남부민2동 3통장, 2011. 6. 18)
  • 인터뷰(서구 남부민동 주민 신명열, 2011. 6. 18)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