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241
한자 朴仁老
영어음역 Bak Inro
이칭/별칭 덕옹(德翁),노계(蘆溪),무하옹(無何翁)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성로 43[수영동 229-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신
성별
본관 밀양
대표관직 경상좌수영 통주사
출생 시기/일시 1561년 6월 12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의병으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598년 - 경상좌수영에 종군
활동 시기/일시 1599년 - 조라포 만호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1년연표보기 - 경상좌수영 통주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27년 - 용양위 부호군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642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영천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부임|활동지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 -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지도보기
묘소|단소 박인로 묘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샘골지
사당|배향지 도계서원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정의]

조선 후기 경상좌수영 통주사(統舟師)를 지낸 무신.

[가계]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덕옹(德翁), 호는 노계(蘆溪), 무하옹(無何翁). 밀약 박씨(密陽朴氏)의 시조는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朴赫居世)이고, 경명왕(景明王)의 아들 밀성 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이 밀양을 관향으로 삼았다. 중시조는 박혁거세의 43세손인 박진록(朴晋祿)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집경전 참봉 박정(朴挺)이고, 할아버지는 의성 교수(義城敎授) 박윤청(朴允淸)이며, 아버지는 승의부위(承議副衛) 박석(朴碩)이다.

[활동 사항]

박인로(朴仁老)[1561~1641]는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글재주가 뛰어나 13세 때 「대승음(戴勝吟)」이라는 시를 지어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32세 때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에서 의병장 정세아(鄭世雅)와 뜻을 모아 별시위(別侍衛)가 되어 많은 공을 세웠다. 의병 활동을 인정 받아 38세 때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성윤문(成允文)에게 발탁되어 부산의 경상좌수영[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으로 가서 전투에 참여하였다.

39세 때 무과에 급제하여 수문장, 선전관을 지냈고, 거제 조라포 만호(萬戶)가 되어서는 군사력을 키우고 백성을 잘 다스려 선정비가 세워지기도 하였다. 정유재란이 끝난 뒤에도 왜군이 우리 바다에서 철수하지 않자, 박인로는 경상좌수영 통주사로 부임하여 작전을 훌륭하게 수행하였다. 51세 때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 선현들의 유적지를 돌아다니면서 유학 연구와 시작(詩作)에 몰두하였다. 67세 때인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용양위 부호군이 되어 지방 행정에 공을 세웠다. 1642년(인조 20) 82세로 세상을 떠났다.

[묘소]

박인로의 묘는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샘골지에 있다.

[학문과 저술]

41세 때 임진왜란으로 깊은 인연을 맺은 경상도 체찰사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과 교우하여 「조홍시가(早紅柿歌)」를 짓고, 77세 때는 경상북도 포항시 죽장면 입암리에서 성리학 연구에 몰두해 있던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서실을 방문하여 학문에 대해 문답을 나누었다. 박인로의 사상은 안빈낙도(安貧樂道)와 청빈, 인애(仁愛)로 압축된다. 그리하여 문학의 주제도 자연의 관조를 통해 인생을 탐구하는 것이 많다. 박인로가 쓴 작품은 한시(漢詩) 110수, 시조 60수, 가사 7편 등이다. 그중 경상좌수영에서 쓴 가사 「선상탄(船上歎)」과 「태평사(太平詞)」는 우리나라 전근대 전쟁 문학사의 금자탑이라 할 만하다. 박인로의 작품을 모은 시문집 『노계집(蘆溪集)』이 있다.

[상훈과 추모]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에 있는 도계서원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