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 고지도』[20세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137
한자 釜山古地圖
영어음역 Busan Gojido
영어의미역 Ancient Map of Busan[20th Century]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현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948-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된 개항기의 부산 일대 지도.

[형태 및 구성]

지본 담채(紙本淡彩)[종이 위에 묽게 채색]로 그린 『부산 고지도(釜山古地圖)』는 10폭 병풍으로, 크기는 99.5×340.0㎝이다. 부산이 개항된 이후인 1900년경 작품으로 여겨지는 『부산 고지도』는 지도라기보다 동양화와 같은 형태를 갖추고 있다. 산수의 형상, 성곽 주변의 경물, 사원, 항만, 선박 등을 능숙하게 묘사하였으며 색감을 조화 있게 사용하였다. 지도의 좌측에 동래읍성을, 우측에 부산포 일대를 그려 시선의 방향은 내륙에서 바다로 향하고 있다.

[특징]

우측부터 제1폭에는 포구, 다대진, 몰운대, 하단 일대를 비롯해 범선과 기선이 묘사되어 있다. 2폭에는 절영도, 일관(日館), 당시의 사하면, 엄궁포를 담았다. 3폭에는 오륙도, 영가대, 동하면부산면 일대, 부산진성, 감리서를 그렸다. 4폭에는 수영, 남상면 일대가 묘사되어 있는데 지금의 수영구남구 일대에 해당된다. 5폭에는 수영강철마천이 합류하여 수영만으로 유입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지명으로 석장산, 동상면, 서원, 광제교, 남천교, 선암사, 마하사, 정씨묘, 탄교가 있다. 6폭에는 동래읍성의 내부가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객사를 중심으로 동헌이 그려져 있고, 망미루에서 남문과 서문에 이르는 큰 길이 표현되어 있다. 수록 지명과 건물명으로 식파루, 동헌, 객사 등이 있다.

7폭에는 향교를 중심으로 한 일대가 묘사되어 있으며 주변에 가옥이 밀집되어 그려져 있다, 수록 지명으로 구의산, 북문, 향교, 만년대, 사천교가 있다. 8폭에는 북면과 온정[지금의 온천장] 일대를 중심으로 그리고 있다. 지명으로 구포, 소산역, 사배현 등이 있다. 사배현은 동래와 양산의 경계에서 두 지역을 잇는 고개였다. 소산역은 지금의 기찰 일대에 해당된다. 9폭은 계명봉, 범어사를 중심으로 그려져 있다. 조선 시대에 계명봉에는 봉수대가 있었다. 10폭에는 금정산성 일대가 그려져 있다. 수록 지명으로 주봉, 북문, 동문, 서문, 정수암, 해월사, 미륵암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부산을 그린 대축척 지도로 병풍식으로 구성된 유일한 지도이다. 이들 지도는 동일한 시기에 각 도시를 대상으로 그려진 회화 지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