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136
한자 李珪範
영어음역 Yi Gyobeom
분야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연제구 교대로 24[거제동 87-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장선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교육자
성별
대표관직|경력 부산교육대학교 학장
출생 시기/일시 1928년 8월 30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71년 - 한국 도서관상, 상록수 교원상 대통령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5년 - 부산교육대학 학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7년 - 국민 훈장 목련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9년 - 부산교육대학 학장 퇴임
활동 시기/일시 1992년 - 부산시 문화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3년 - 국민 훈장 동백장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94년 - 대통령 직속 교육개혁위원회 위원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94년 - 거제대학 학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97년 - 거제대학 학장 퇴임
몰년 시기/일시 2010년 8월 7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밀양 - 경상남도 밀양시
거주|이주지 부산 - 부산광역시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부산사범학교 - 부산광역시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30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동아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 괴정1동 619-41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부산여자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2동 495-1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부산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6동 69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부산교육대학 -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1동 263지도보기
수학|강학지 거제대학 - 경상남도 거제시 장승포동 654-1
묘소|단소 이규범 묘 - 경상남도 밀양시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교육자.

[활동 사항]

이규범(李珪範)[1928~2010]은 1928년 8월 30일 경상남도 밀양에서 출생하였다. 1954년 부산사범학교와 1958년 부산대학교 법과 대학을 졸업하고 동아고등학교 교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부산여자고등학교, 부산고등학교 교사를 지냈다. 1959년부터 학습 방법 개선을 위한 도서관 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였고, 부산시 도서관 건립 위원으로 활동하며 시민도서관, 구덕도서관, 반송도서관, 구포도서관, 부산중앙도서관 건립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대학들도 이규범의 도서관 운동에 호응하여 관련 서적을 출간하고, 사서 교사 양성, 일반 교사에 대한 도서관 연수 교육 등을 실시하였다. 이로써 이규범은 대한민국 도서관 분야의 선구자이자 산증인으로 평가받게 되었다.

이규범은 교직 생활과 병행하여 농촌 계몽 운동에도 열정을 쏟았다. 산간벽지였던 경상남도 양산군 원동면 어영 마을과 자매결연을 맺어 주말과 방학을 이용해 농촌 문고 및 공동 목욕탕 설치, 마을 회관 건립, 유실수 및 약초 재배를 권장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1970년대 초반에는 불우 청소년을 위한 야간 학교를 개설하여 5년여 동안 중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무료 교육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1985년 부산교육대학으로 옮겨 1989년까지 도서관장, 학생처장, 교무처장, 학장 등을 지냈다. 1994~1996년 부산 및 경상남도 지역에서 유일하게 대통령 직속 교육개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교육 발전에 힘을 보탰다. 1994~1997년에는 거제대학교[대우학원] 학장을 지냈다. 퇴임 후 2002년부터 그림을 그려 전시회를 열고 그 수익금은 불우 이웃을 돕는 데 썼다. 2010년 8월 7일 세상을 떠났으며, 자녀는 2남 3녀를 두었다.

[묘소]

이규범의 묘는 경상남도 밀양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71년 한국 도서관상과 상록수 교원상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1987년 국민 훈장 목련장, 1992년 부산시 문화상, 1993년 국민 훈장 동백장을 수상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