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김유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959
한자 金有善
영어음역 Gim Yuseon
분야 생활·민속/민속,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선수촌로 95[반여1동 1199-1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경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화 예술인
성별
대표경력 중요 무형 문화재 제82-가호 동해안 별신굿 예능 보유자[무녀 역]
출생 시기/일시 1932년 3월 15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9년 9월 - 동해안 별신굿에 입문
활동 시기/일시 1985년 4월 1일연표보기 - 중요 무형 문화재 제82-가호 동해안 별신굿 예능 보유자 지정
활동 시기/일시 2005년 4월 20일 - 명예 보유자로 전환
몰년 시기/일시 2010년 2월 26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강릉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
거주|이주지 동래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거주|이주지 기장 - 부산광역시 기장군 내리지도보기
활동지 동해안별신굿보존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1동 1199-11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에 거주하였던 「동해안 별신굿」 예능 보유자.

[활동 사항]

김유선(金有善)[1932~2010]은 강원도 강릉시 안인읍[현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리]에서 태어나 할머니 밑에서 유복자로 자랐다. 김유선은 17세 때인 1949년 「동해안 별신굿」에 입문하였다. 주로 무녀역할을 맡았는데, 만능 재주꾼인 무녀의 캐릭터에 맞게 다양한 춤과 노래, 연기에 악기 연주까지 관객을 즐겁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익혀 연희에 임하였다.

강원도 강릉시 경포대에서부터 삼척·울진·영덕·포항·방어진·부산 해운대 미포에 이르기까지 동해안 전역을 오가며 별신굿을 행하였다. 특히 중요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 이후에는 부산 지역에 자리를 잡고 동해안별신굿보존회에서 활동하면서 각종 축제에서 별신굿을 선보였다. 남편은 「동해안 별신굿」의 대표격인 김석출(金石出)이다. 김유선은 남편과 함께 딸·사위·아들·조카로 구성된 「동해안 별신굿」 팀을 만들어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1985년 4월 1일 중요 무형 문화재 제82-가호 「동해안 별신굿」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2005년 4월 20일 고령으로 인해 명예보유자로 전환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