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936
한자 秋松雄
영어음역 Choo Songung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희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연극배우
성별
출생 시기/일시 1941년 9월 4일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47년 - 진주 천전국민학교에서 수학
수학 시기/일시 1948년 - 마산 중리국민학교·내서국민학교·상남국민학교에서 수학
수학 시기/일시 1953년 - 부산 청룡국민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56년 - 부산 동아중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59년 - 부산공업고등학교 건축과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63년 -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극단 민중극장 창립 동인으로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달걀」로 연극계 데뷔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신조극장 창단
활동 시기/일시 1965년 - 극단 가교 창립 동인으로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66년 - 극단 광장 창립 동인으로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67년 - 극단 자유극장 입단
활동 시기/일시 1971년 - 제7회 동아 연극상 최우수 남자 주연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3년 - 제9회 동아 연극상 최우수 남자 주연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빨간 피터의 고백」등 6편 출연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극단 현대극장 입단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한국 연극 영화 예술상 최우수 남자 연극 연기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80년 4월 - 살롱 ‘떼아뜨르 추’ 개관
활동 시기/일시 1982년 5월 - 극단 ‘떼아뜨르 추’ 창단
활동 시기/일시 1983년 8월 - 떼아뜨르 추 삼일로 극장 개관
몰년 시기/일시 1985년 12월 29일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서외리 167
거주|이주지 경상남도 진주시
거주|이주지 경상남도 창원시
거주|이주지 부산광역시
거주|이주지 서울특별시
학교|수학지 천전국민학교 - 경상남도 진주시 칠암동 237-2
학교|수학지 중리국민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호계리 305
학교|수학지 내서국민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동 550-1
학교|수학지 상남국민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상남동 179-1
학교|수학지 사상국민학교 - 부산광역시 북구 덕포1동 692-1
학교|수학지 청룡국민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46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동아중학교 - 부산광역시 서구지도보기
학교|수학지 부산공업고등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4동 918-2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중앙대학교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 221
활동지 극단 민중극장 - 서울특별시
활동지 신조극장 - 서울특별시
활동지 극단 가교 - 서울특별시
활동지 극단 광장 - 서울특별시
활동지 극단 자유극장 - 서울특별시
활동지 삼일로창고극장 - 서울특별시
활동지 극단 현대극장 - 서울특별시
활동지 살롱 ‘떼아뜨르 추’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정의]

한국 모노드라마를 개척한 부산 출신의 연극배우.

[활동 사항]

추송웅(秋松雄)[1941~1985]은 1941년 9월 4일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서외리 167번지에서 태어났다. 1947년 진주 천전국민학교, 1948년 마산 중리국민학교·내서국민학교·상남국민학교를 다니다가 부산으로 이주하여 사상국민학교를 거쳐 1953년 청룡국민학교를 졸업하였다. 1956년 동아중학교, 1959년 부산공업고등학교 건축과를 나왔다. 추송웅은 어릴 때부터 재주가 많아 신동이라 불리며 큰 잔치나 모임 등에 감초처럼 초대되었으며, 초등학교 시절에는 학예회의 주역이었다. 부산공업고등학교에서는 처음으로 연극반을 만들고 창작극도 쓰고 연출을 맡기도 하였다. 이후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에 진학하여 1963년 졸업하였다.

1963년 극단 민중극장 창립 동인으로 창립 공연인 「달걀」[마르소 작·김정옥 연출]에 출연하여 연극계에 데뷔한 것을 시작으로, 신조극장을 창단하고 연기 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65년 극단 가교의 창립 동인, 1966년 극단 광장 창립 동인으로 활동하다가, 1967년 극단 자유극장에 입단하고, 1979년 극단 현대극장에 입단하였다. 1980년 4월 살롱 ‘떼아뜨르 추’를 개관하고, 1982년 5월 극단 떼아뜨르 추를 창단하였으며, 1983년 8월 떼아뜨르 추 삼일로 극장을 개관하였다.

성격파 배우로서 독특한 희극적 연기술을 개발하여 소극풍(笑劇風)의 추송웅 스타일을 확립시켰는데, 이것은 주로 프랑스풍의 희극들에 출연하면서 구축되었다. 추송웅의 개성적인 연기와 성격 창조에 힘입어 1977년 삼일로 창고 극장에서 공연한 모노드라마 「빨간 피터의 고백」은 최대의 화제작이 되었고, 일본 공연의 기회를 얻기까지 하였다. 이 작품은 추송웅의 또 하나의 모노드라마 「우리들의 광대」[1978]와 더불어 추송웅을 시대의 개성 있는 배우로 부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생소하였던 모노드라마의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추송웅는 부산에서 「빨간 피터의 고백」을 비롯하여 여러 작품을 공연하였다. 1976년에는 「세빌리아의 이발사」를 부산 시민 회관에서, 1977년에는 「동물원 이야기」를 부산 시민 회관에서, 1977년·1980년·1985년에는 「빨간 피터의 고백」을 부산 시민 회관에서, 1979년과 1981년에는 「우리 집 식구는 아무도 못 말려」를 부산 시민 회관에서, 1980년에는 「우리들의 광대」를 부산 시민 회관에서, 1982년에는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공연하기도 하였다. 추송웅은 부산 사투리를 활용한 독특한 대사법을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재학 시절에 연구하여 그만의 스타일로 만든 것으로 유명하였다. 개성적인 연기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연극배우로 활동한 추송웅은 1985년 12월 29일 패혈증과 급성 신부전증으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연극 출연 작품으로는 「달걀」[1963]·「뜻대로 하세요」·「도적들의 무도회」[1964]·「테모스 테스의 재판」·「동물원 이야기」·「위대한 곡예사」·「토끼와 포수」·「상선 떼나시티」[1965]·「이순신」·「들개」·「달이 뜰 무렵」·「따라지의 향연」·「꿀맛」·「윈저의 명랑한 아낙네들」·「인간 부결」[1966]·「햇불」·「저승에서 만난 부부」·「검찰관」·「한꺼번에 두 주인을」[1967]·「우정」·「그래도 막은 오른다」·「피크닉 작전」·「물리학자들」·「살인 환상곡」·「대수양」[1968]·「대머리 여가수」·「우정」·「마리우스」·「햇빛 밝은 아침」·「뿌리 깊은 나무들」·「흑인 창녀를 위한 고백」·「타이피스트」[1969]·「동물원 이야기」·「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소식」[1970]·「아가씨 길들이기」·「부부 연습」·「그물 안의 여인들」·「슬픈 카페의 노래」·「바다여 말하라」·「프로랑스는 어디에」[1971]·「기도」·「아버지 연설」·「세빌리아의 이발사」·「위선자 딸뛰프」·「소식」·「다라지 향연」·「라 뮤지카」[1972]·「타이피스트」·「도적들의 무도회」·「학당골」·「더블맨」·「카츄사」·「뜨거운 양철 지붕위의 고양이」[1974]·「동리자전」·「출세기」[1974]·「보이책크」·「마의 태자」·「소」[1975]·「주머니 속에서 탱고를」·「상둥이 모험」·「미란돌리나의 연인들」·「바다 풍경」[1976]·「빠담 빠담 빠담」·「보물섬」·「빨간 피터의 고백」[1977]·「빵집 마누라」·「북벌」·「우리 집 식구는 아무도 못 말려」·「살짜기 옵서예」[1978]·「피터팬」·「우리들의 광대」[1979]·「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초코렛 데이트」[1980]·「올리버 트위스트」[1983]·「파랑새」[1985] 등이 있다.

영화 출연 작품으로는 「돌아가는 삼각지」[1970]·「마음은 푸른 하늘」[1973]·「병태의 감격 시대」[1975]·「7인의 말괄량이」[1976]·「여자를 찾습니다」[1976]·「문」[1977]·「반금련」[1981]이 있으며, 방송 드라마 출연은 대학 시절 KBS 「긴 귀향 항로」[1962년]를 시작으로 단막극 「밧줄」·「첫과 끝」·「돈을 살려라」·「그날 일어난 일」·「피난처 있으니」·「태양 앞에 서서」[1963년] 등이 있다. 이후 기성 배우로서 연속극 「달동네」[1980~1981]·「사랑하는 사람들」[1984~1985]에 출연하였다.

그리고 자서전 『빠알간 피이터 추송웅』[1981]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71년에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로 제7회 동아 연극상 최우수 남자 주연상을 수상하고, 1973년에 「세빌리아의 이발사」로 제9회 동아 연극상 최우수 남자 주연상을 수상하였으며, 1979년에 「빨간 피터의 고백」으로 한국 연극 영화 예술상 최우수 남자 연극 연기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