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최동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788
한자 崔東元
영어음역 Choe Dongwon
이칭/별칭 태야(台也)
분야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중곡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태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국문학자
성별
본관 경주
대표관직|경력 부산대학교 교수
출생 시기/일시 1923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60년 -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에 임용
활동 시기/일시 1977년 - 한국 문학회 창립
활동 시기/일시 1978년 - 문화교육부 검인정 교과서 심사 위원에 임명, 제21회 부산시 문화상[학술 부문] 수상, 제2회 도남 국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1979년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장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981년 - 한국 문학회 회장이 됨
활동 시기/일시 1982년 - 부산시 문화 위원회 위원, 부산대학교 교수 협의회 부회장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988년 11월 9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0년 - 『고시조론고』 출간
출생지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 생곡리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중곡 마을
거주|이주지 부산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365-25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부산제이공립상업학교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503-15지도보기
수학|강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지도보기
활동지 녹산공립국민학교 - 부산광역시 강서구 구랑동 111-1지도보기
활동지 부산대학교 -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지도보기
묘소|단소 최동원 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정의]

부산 출신으로, 부산대학교 교수를 지낸 국문학자.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태야(台也). 아버지는 최대흥(崔大興)이고, 부인은 문위채(文渭採)의 장녀 문의순(文義順)이다. 자녀는 2남 3녀이다.

[활동 사항]

최동원(崔東元)[1923~1988]은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 생곡리[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중곡 마을]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다. 1941년 부산제이공립상업학교[부산상업고등학교의 전신, 현 개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녹산공립국민학교, 부산상업고등학교 교사를 지냈다. 1952년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하여 대학 졸업 후 1960년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1977년 부산 지역의 한국 문학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문학회를 창립하여 주도적으로 활동하였고, 1978년 문화교육부 검인정 교과서 심사 위원, 1979년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장을 맡았다. 1981년 한국문학회 회장, 1982년에는 부산시 문화위원회 위원과 부산대학교 교수협의회 부회장을 지냈다.

[학문과 저술]

최동원은 고전 시가, 그중에서도 고시조를 전문으로 연구한 학자이다. 옛 작품을 연구할 때 원전(原典)을 치밀하게 검증하고 자료를 분석하는 실증주의 방법을 즐겨 썼다. 이를 통해 시조의 모태를 고려 속요의 음악적 분단(分段)에서 찾았으며, 시조의 발생 시기에 대해서도 고려 중엽이라는 통설에 반대하여 고려 말 원나라 지배 시기라고 주장하였다.

장시조(長時調)가 임진왜란[1592], 병자호란[1636] 이후 평민 문학의 일환으로 생겨났다는 설에 대해서도 자료 고증을 통해 반박하였다. 장시조는 16세기 양반 및 사대부 계층에서 탄생하였으며, 18세기가 전성기였음을 밝혀 우리나라 고전 시가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시대 구분에 있어서 장시조와 단시조의 전개 양상을 함께 고려한 점, 임진왜란을 기준으로 삼지 않고 16, 17세기를 동시대로 묶은 점, 18세기 가객(歌客)의 구체적인 활동 상황을 최초로 규명한 것 등 우리나라 국문학사에 굵직한 발자취를 남겼다. 최동원의 저술은 『고시조 연구』[형설출판사, 1977], 『고시조론』[삼영사, 1980]이 있다. 유고집 『고시조론고』[삼영사, 1990], 공저 『한국 문학 개론』[삼영사, 1986]이 있다.

[묘소]

최동원의 묘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78년 제21회 부산시 문화상[학술 부문]과 제2회 도남 국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