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556 |
---|---|
한자 | 東萊府國債補償一心會 |
영어의미역 | Dongrae Branch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최경숙 |
[정의]
1907년 부산 동래 지역의 국채 보상 운동을 주도한 단체.
[개설]
1907년 1월 30일 대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일어난 후 같은 해 3월 10일 동래 지역에도 부산항상무회 회원이었던 문병희, 김문주, 정한정, 송상종, 최륜하, 오덕근, 이상근, 신명록, 추두영, 윤철병, 김원숙 등 14명이 발기인이 되어 취지서를 발표하고,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를 설립하였다.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의 취지서를 통하여 전국에서 맨 처음 국채 보상을 제기한 곳이 동래의 ‘부산항상무회’란 것을 알 수 있다. 부산항상무회는 부산상무회의소로, 초량 객주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이들이 전국 최초로 국채 보상을 제기하였고, 나아가 동래 지역 국채 보상 운동의 선구적 역할을 한 것이다.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는 지역의 계몽 운동을 주도한 동래기영회, 대한자강회에 관여한 개명 인사 그리고 동래 수면 노소 신사 총회(東萊首面老少紳士總會)와도 어느 정도의 관련이 있다. 이렇게 볼 때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는 식산흥업과 교육 진흥을 통한 자강(自强)이라는 논리 위에서, 동래기영회를 모체로 한말 개명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조직한 단체이다.
[설립 목적]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는 단연(斷煙) 금연 운동을 통해 자금을 모아 국채 보상을 하자는 취지에서 조직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 시행 규칙」에 단체의 구체적 활동 계획이 나타난다.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는 국채 1300만 원 보상을 목적으로 기부금 모집 및 그 독려를 위한 거리 연설, 수전소[모금 장소] 설치 등의 활동을 계획하였다. 또 의연금 납입자의 명단과 금액을 매월 말 신문에 공포하는 일도 하였다. 회원들은 단연 동맹을 결성하고 의연금으로 각 30전을 기부하였다.
[의의와 평가]
국채 보상 운동은 대구 광문사(廣文社)의 서상돈(徐相敦), 김광제(金光濟)가 최초로 시작했다고 알려졌으나 동래부 국채보상일심회의 취지서를 통해 국채 보상 운동을 최초로 제기한 곳이 부산이라는 점이 밝혀진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상업회의소 회원들에 의해서 시작되었지만 광범위한 동래 지역민의 참여를 이끌어 내었고, 민족의식과 독립 의식을 앙양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지도 원리가 미비하고 운동 주도층의 사회 경제적 기반이 미약하여 일제의 탄압에 부딪치자 효율적으로 운동을 지속시켜 나가지 못하였다는 한계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