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524 |
---|---|
한자 | 文渭悅 |
영어음역 | Mun Widong |
이칭/별칭 | 아산(我山) |
분야 | 문화·교육/교육,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468 봉림 마을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하유식 |
[정의]
부산 출신의 교육자이자 사회 운동가.
[개설]
문위열(文渭悅)은 1905년에 지금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 봉림 마을에서 태어났다. 호는 아산(我山)이다. 서울 중동중학교와 경성법정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활동 사항]
문위열은 일제 강점기인 1933년 3월 김해 낙동강 주변의 대저, 김해, 녹산, 가락의 4개 면민 대표자들이 가락면에 모여 낙동강 일천식 공사(洛東江一川式工事)로 인한 해수 역류가 우려되어 해수방지회(海水防止會)를 조직했을 때 위원으로 선정되어, 면민들을 대표하여 생존권 수호를 위한 사회 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1934년 9월에 수재를 당한 1만여 명의 가락면민들이 면민 대회를 열고 생존권을 보장해 달라고 군 당국에 요청할 때 가락면민 대표 위원 14인 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되어 활동하였다. 이후 그는 배차수·김연성·김정석과 함께 4인의 상경 대표로 선정되어, 직접 조선총독부를 방문하여 진정서를 제출하였다. 문위열은 1939년 5월에 실시된 읍면 협의회원 선거에 출마, 당선되어 가락면 협의회원으로 활동하였다.
해방 후 그는 조선식량영단 가락공장장, 가락면장, 김해교육구청 교육위원, 김해 향교 전교 등을 역임하였다. 1947년 9월 1일 현 가락중학교 전신인 가락고등공민학교를 창립하고 초대 교장을 역임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 의원 선거 때 김해군 갑구에 출마할 것으로 언론은 예상했으나 출마하지 않았다. 그는 면장을 역임한 후 독농가(篤農家)로서 농촌 사회 발전을 위해 적극 나섰다.
1968년 10월 한 언론의 설문 조사에 응하여, 추곡 매입 가격이 생산 가격에 미달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이농하는 농가가 속출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식량 증산을 위해서는 비료 판매를 자유화하고 농우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1970년에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