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국 팔로분 지도』 「경상도 지도」[18세기 후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464
한자 東國八路分地圖慶尙道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Gyeongsang-do in Dongguk Pallobun Jido [Late-18th century]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제작 시기/일시 1784년연표보기 - 제작
현 소장처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선동 3가 249-1

[정의]

부산 일대를 포함한 경상도의 지리 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조선 후기 『동국 팔로분 지도』의 도별도.

[개설]

『동국 팔로분 지도(東國八路分地圖)』 「경상도 지도(慶尙道地圖)」는 현재 성신여자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지도첩에 수록된 경상도 도별도이다. 지도첩의 표장은 ‘동국 팔로분 지도(東國八路分地圖)’로 되어 있으며, 표지에 ‘갑진맹춘(甲辰孟春)’이라는 표시가 있어, 제작 연도가 1784년임을 알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정상기(鄭尙驥)의 『동국지도(東國地圖)』의 영향을 받아 해주 정씨의 정후조(鄭厚祚)가 증보한 『동국지도』의 팔도 분도로 알려졌다. 그러나 동일한 형태의 지도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고, 이들 지도의 내용이 18세기에 제작된 방안식 군현 지도와 이후 『청구도(靑邱圖)』 및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내용과 유사한 것으로 볼 때 이 견해는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형태 및 구성]

『동국 팔로분 지도(東國八路分地圖)』는 채색 필사본으로 1첩 8절로 되어 있으며 동국 여지도 범례(東國輿地圖凡例)가 첨부되어 있다. 지도의 내용 구성은 이전 정상기 유형의 경상도 도별도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부산 일대의 묘사 내용을 보면 동래부와 양산, 기장과의 군현 경계가 황색으로 묘사되어 있고, 계명명과 금정산으로부터 내려오는 산줄기와 함께 물줄기가 매우 상세하게 그려져 있다. 동래 읍치는 황색 원으로 그려져 있다. 해안 지명에 관음암, 요암이 나타나고, 감동포부산만에 그려져 있다. 지리 정보의 수준은 20리 방안식 군현 지도에 버금간다. 왜관에 설문이 묘사되어 있으며, 면 지명도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특징]

『동국 팔로분 지도』 「경상도 지도」는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조선 팔도 지도(朝鮮八道地圖)』[古 4709-54]를 모사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두 지도를 비교하면 부분적인 차이가 발견된다. 이 지도의 일부 지명에서 ‘녹(菉)’이 ‘북영(北永)’으로, ‘대저(大渚)’가 ‘대포(大浦)’로 잘못 기재되는 것으로 보아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의 『조선 팔도 지도』가 원본이며, 『동국 팔로분 지도』 「경상도 지도」는 모사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동국 팔로분 지도』는 18세기 고지도의 발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도로 제작 연대가 밝혀져 있고, 앞에 수록된 범례를 통해 지도 제작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