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445 |
---|---|
한자 | 要覽集慶尙道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Gyeongsang-do in Yoramjip[Collection of Bulletins, Mid-18th centur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기혁 |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교에 소장된 『요람집』에 삽입된 18세기 경상도 지도.
[개설]
『요람집(要覽集)』은 18세기 중엽에 발간된 지도첩이다. 17세기 목판 인쇄술의 발달과 사회 경제적인 변화로 인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여지도(輿地圖)』, 『천하 지도(天下地圖)』, 『지도(地圖)』 등의 이름이 붙은 도별 지도책이 널리 보급되었는데, 『요람집』 역시 이러한 유형의 지도책이다.
[형태 및 구성]
『요람집』에는 팔도 총도(八道總圖)가 없으며 도별도로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상도 지도의 하단부에 여백을 두어 지지(地誌) 내용을 담고 있다. 각도를 동일한 크기의 목판으로 제작하였기 때문에 각 도별도를 연결하면 세로 670㎝, 가로 220㎝의 크기가 되나, 각도의 경계는 연결되지 않는다.
『요람집(要覽集)』 「경상도 지도(慶尙道地圖)」에는 산명, 수계, 도서명 및 목부 군현의 위치가 원으로 그려져 있고, 원내에는 군현명과 한양으로부터 소요 일수 및 위계가 적혀 있다. 산의 경우 산맥은 따로 표시하지 않고 양각으로 산세를 표현해 놓고 있으며 그 밑에 산 지명을 기재하고 있다. 하천의 표현은 다른 지형지물에 비해 폭이 과장되게 나타나고 있으나, 묘사는 비교적 정확하다. 사각형 안에 기재된 지명은 각 지방에서 사용하던 하천 지명인 것으로 생각된다. 낙동강은 태백산에서 발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서(島嶼)는 사각형으로 표시하여 그 안에 지명을 기재하고 있다. 대마도는 동래부 앞바다에 묘사되어 있다. 유구국은 전라도 남해안에 그려져 있는 것이 특이하다.
[특징]
각 도의 하단에 기재하고 있는 지지의 내용에는 역 수, 군현 수, 민호 수, 전결 수와 진, 보, 전선 등의 군사적인 내용 등이 수록되어 있다. 지지 서술 체제는 한양과의 거리, 민호, 전결 수 등이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고 그 외는 각도마다 비교적 다양한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경상도의 지지적인 내용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우도삼십일 좌도사십 일백오십구역 거민삼십팔만팔천육백이십구호 전삼십삼만칠천구백칠십육결 속오군십오만일천사백명(右道三十一 左道四十 一百五十九驛 居民三十八萬八千六百二十九戶 田三十三萬七千九百七十六結 束伍軍十五萬一千四百名)”
[의의와 평가]
『요람집』 「경상도 지도」는 조선 후기 목판본 지도첩에서 나타나는 지리 정보의 내용과 함께, 상세한 주기를 통해 당시 지리 정보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