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393
한자 沈相炫
영어음역 Sim Sanghyeon
분야 종교/기독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이상규 1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천주교인
성별
출생 시기/일시 1870년~1874년연표보기 - 출생[추정]
출가|서품 시기/일시 1894년 4월 22일 - 애니 베어드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음
활동 시기/일시 1892년~1894년 - 벨레 멘지스의 한국어 교사로 활동
몰년 시기/일시 1894년 10월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부산광역시
활동지 부산광역시

[정의]

부산과 경상남도 지역의 최초 수세자(受洗者).

[활동 사항]

심상현(沈相炫)[?~1894]은 부산에서 심인택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러나 출생, 가정 배경, 혹은 활동 사항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심상현에 대한 가장 오래되고 국내 유일한 기록은 백낙준(白樂濬)이 언급한 것으로, ‘멘지스 양의 어학 선생이었던 심 서방’이라는 것이었다. 심상현의 동생 심취명(沈就明)[1875~1958]의 생몰 연대를 고려해 볼 때 심상현은 1870년에서 1874년 사이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심상현은 전통적인 양반 가문에서 출생하여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그러나 서양 문물에 대한 관심이 있어, 약간의 영어도 구사할 수 있었다.

심상현은 1892년부터 1894년까지 2년간 호주 선교사 벨레 멘지스(Belle Menzies)의 첫 한국어 선생이었다. 원래 심상현은 유학에 조예가 깊은 자부심이 강한 사람이었으나, 벨레 멘지스의 끈질긴 노력으로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고, 1894년 4월 22일 애니 베어드(Annie Baird)[배위량]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아 부산 지역의 첫 수세자가 되었다.

그러나 심상현은 세례를 받은 지 불과 6개월이 못된 1894년 10월 중순 경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사인(死因)이나 사망일에 대한 분명한 기록은 없다. 심상현의 죽음으로 그의 부모는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고, 동생 심취명 또한 신앙을 갖게 되었으며, 심상현의 사촌 김 씨도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이들 가족들은 심상현이 사망한 지 약 1년 뒤인 1895년 11월 다같이 세례를 받아 부산 지방 기독교의 지도자가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