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찰스 어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387
영어음역 Charles.H.Irvin
이칭/별칭 어을빈(漁乙彬)
분야 종교/기독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5가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상규 1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종교인
성별
대표경력 어을빈의원 원장
출생 시기/일시 1862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94년 3월 - 부산으로 건너와 선교와 의료 활동 시작
활동 시기/일시 1894년 4월 30일~5월 12일 - 순회 전도 여행 진행
활동 시기/일시 1903년 9월 - 정킨기념병원에서 의사로 활동
활동 시기/일시 1910년 - 나환자 수용 시설인 상애원 건립에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11년 4월 - 선교사직을 사임하고 어을빈의원 개원
몰년 시기/일시 1935년연표보기 - 사망
출생지 미국
활동지 메리 콜린스 휘팅 시약소 - 부산광역시
활동지 정킨기념병원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활동지 상애원 -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
활동지 어을빈의원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5가지도보기

[정의]

부산 지역에서 활동한 미국 북장로교 의료 선교사.

[활동 사항]

찰스 어빈(Charles H. Irvin)[1862~1935]은 1862년 미국에서 태어났다. 어을빈(漁乙彬)이라고도 불렸다. 미국 북장로교[PCUSA] 소속 의료 선교사로 윌리엄 베어드(Rev. William M. Baird)[배위량(裵緯良)], 휴 브라운(H.M.Brown)에 이어 1894년 3월 부산으로 건너와 의료 활동과 지역 순회 전도 운동으로 1911년까지 약 17년간 선교사로 일하였다. 찰스 어빈이 부산에 온 지 얼마 안 되어 ‘메리 콜린스 휘팅 시약소[Mary Collins Whiting Dispensary]’가 건립되었는데, 이곳은 미국 북장로교의 부산 의료 선교의 중심지가 되었다. 메리 콜린스 휘팅 시약소는 1903년까지 유지되었고, 시약소를 발전시켜 1903년 9월에는 정킨기념병원[Junkin Memorial Hospital]이 초량에 건립되었다. 이는 부산과 경상남도 지방에 세워진 최초의 근대식 병원이었다.

정킨기념병원이 설립된 이후 약 8년간 약 6만 명의 환자가 치료를 받았는데, 그 중 9천 명은 어린아이들이었다. 또 2,500회의 수술을 시행하였고, 4,400회의 왕진을 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주도한 인물이 찰스 어빈이었다. 찰스 어빈이 선교사직을 사임한 때인 1911년까지 연 평균 6,000명~1만 명의 환자를 치료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킨기념병원은 비록 부산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었다.

찰스 어빈은 부산과 경상남도 지방 나병 환자들을 위한 의료 사역에도 동참하였다. 의사 빈톤(Dr. C. C. Vinton), 스미스(Dr. W. E. Smith)[심익순(沈益順)] 등과 나환자들을 돌보는 일을 위한 위원회의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이러한 활동이 구체적으로 추진되어 1909년 11월에는 나병선교회[The Mission of Lepers in India and the East]의 재정 지원으로 나환자 수용 시설인 상애원(相愛院)이 부산시 남구 감만동에 건립되었다. 상애원은 이듬해인 1910년에 한국 최초로 개원하였는데, 찰스 어빈이 여기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찰스 어빈은 1911년에 사임하였으며, 나병원의 운영은 호주 선교부에 위임되었다.

이상의 의료 활동 외에도 찰스 어빈은 지역 순례와 전도 운동을 전개하였다. 예컨대, 1894년 4월 30일부터 5월 12일까지 윌리엄 베어드와 동행하며 순회 전도 여행을 진행하였다. 그의 아내 베르타 어빈(Mrs. Bertha Irvin)은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가 1895년 부산에 설립한 남자 학교인 한문서당[The Chinese School]에서 교사로 활동하였으며, 1897년에는 고아나 극빈 여아들을 위한 소규모 야학을 개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존속 기간은 길지 못하였다.

1911년 4월에 선교사직을 사임하고,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5가 영선 고개에 어을빈의원을 개원하여 의료 활동으로 지역 사회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때 만병통치약인 만병수(萬病水)를 개발하여 환자들을 치료하였고 의사로서도 명성을 얻었다. 1935년 부산에서 세상을 떠났고, 중구 대청동 복병산에 묻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