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우식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378
한자 李祐植
영어음역 Yi Usik
이칭/별칭 남저(南樗)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3가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장선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조선어학회 재정이사
출생 시기/일시 1891년 7월 22일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08년 3월 - 교남교육회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09년 10월 - 대동청년단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14일 - 의령면 3·1 운동 주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상하이로 망명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백산무역주식회사 이사로 선출
활동 시기/일시 1920년 - 진주 사립일신고등보통학교 발기인으로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1년 - 의령공립보통학교 증축에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3년 - 의령공보야학회 후원
활동 시기/일시 1929년 - 중외일보사 사장으로 선출
활동 시기/일시 1929년 - 조선어학회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30년 - 원동무역주식회사 경영
활동 시기/일시 1936년 3월 3일 - 조선어사전편찬후원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42년 1월 - 조선양사원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42년 10월 18일 -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구속[징역 2년, 집행 유예 4년 선고]
활동 시기/일시 1945년 1월 - 석방
활동 시기/일시 1963년 - 한글공훈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1966년 7월 5일연표보기 - 이우식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6년 7월 8일 - 한글학회장
추모 시기/일시 1977년연표보기 -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19년 3월 14일연표보기 - 의령면 3·1 운동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42년 10월 18일연표보기 - 조선어학회 사건
출생지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동동리 1053
거주|이주지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동동리 1053
학교|수학지 세이소쿠가쿠엔고등학교 - 일본 도쿄
학교|수학지 도요대학 - 일본
활동지 경상남도 의령
활동지 대동청년단 - 부산
활동지 백산상회 - 부산광역시 동광동 3가지도보기
활동지 중외일보사 - 부산
묘소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가계]

호는 남저(南樗). 아버지는 당시 의령 지방의 유일한 만석꾼인 이상두이고, 어머니는 연안 김씨이다.

[활동 사항]

이우식(李祐植)[1891~1966]은 1891년 7월 22일에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면 동동리 1053번지에서 5대 독자로 태어났다. 어릴 적에 향리에서 한학을 수학하고 도쿄[東京] 세이소쿠가쿠엔고등학교[正則学園高等学校]를 거쳐 도요대학[東洋大學]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일찍부터 교육에 관심을 가져 영남 인사들을 중심으로 설립된 교남교육회에 1908년 3월 가입하였고 항일 비밀 단체인 대동청년단에도 1909년 10월 가입하였다. 이우식은 동향의 항일 투사인 구여순(具汝淳), 이극로(李克魯), 안희제(安熙濟)와 교류하는 사이였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3월 14일 구여순, 최정학(崔正學) 등 동지들과 의령면 3·1 운동을 주도한 뒤 상하이[上海]로 망명하였다.

귀국 후 안희제의 백산무역주식회사에 출자하여 대주주로 이사 등을 맡아 비밀리에 상해 임시 정부의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교육 운동에도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1920년 진주 사립일신고등보통학교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22년 재단 법인 설립 때 이사로도 참여하였다. 1921년 의령공립보통학교의 증축, 1923년 의령공보야학회 등에도 후원하였다. 부산에서는 안희제와 함께 1921년 3월 교남민립제일고등보통학교를 설립하기로 하고 부산진구 연지동에 6만 6,000㎡[2만 평]의 학교 부지를 구하는 등 노력하였으나 좌절되었다.

이우식은 1929년 『중외 일보』에 투자하고 안희제에 이어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1929년 이극로의 소개로 조선어학회에 가입하고 조선어 사전 편찬을 위한 재정을 전담하였다. 조선어학회 기관지 『한글』의 편집비를 지원하였으며 1936년 3월 3일 조선어사전편찬후원회를 비밀리에 조직하여 거액의 자금을 지원하였다. 또한 1930년에 원동무역주식회사를 경영하였다. 1942년 1월 서울에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이은상(李殷相), 이극로, 이윤재(李允宰) 등과 조선양사원(朝鮮養士院)을 조직하여 재정을 지원하였다.

이우식은 1942년 10월 18일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의령에서 체포되어 함경남도 홍원경찰서와 함흥경찰서에서 갖은 고문을 당하였다. 1945년 1월 징역 2년에 집행 유예 4년을 선고 받았을 때 이미 2년 3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기 때문에 바로 석방되었다. 해방 후 조선어학회 재정이사를 지냈다. 1966년 7월 5일 세상을 떠났으며 장례는 7월 8일 한글학회장으로 거행되었다.

[묘소]

묘소는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면 서동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63년에 한글공훈상을 수상했으며, 1977년에 건국 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